향후 3년 내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제품을 만들어주는 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원장 김흥남)은 소규모 생산 모듈 단위로 상호 연동, 고객 개개인 요구를 반영한 제품 생산 연구에 착수했다고 3일 밝혔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6/691560_20150603134525_822_0001.jpg)
ETRI는 생산계획에 따라 획일적으로 제품을 생산하던 공정에서 벗어나 개인 맞춤형 제조로 패러다임을 바꿀 계획이다.
이 연구에는 사이버 물리시스템(CPS:Cyber Physical System)이 이용된다. CPS는 사이버 세계와 물리적 세계를 통합한 시스템이다. 사물 간 소통하며 자동적, 지능적으로 제어한다.
스마트 제조, 차세대 자동차, 차세대 국방,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교통 등 응용범위도 광범위 하다.
ETRI는 지난 2012년 국방무기체계를 통합한 통신 소프트웨어를 개발, 상용화했다. 함정이나 전차 등에 탑재된 감시정찰, 지휘통제, 타격무기체계 등을 유기적으로 결합했다.
연구진은 3년 뒤 기반기술을 완성해 제조업 자동화 설비 및 소프트웨어 기술개발 업체 등에 기술이전,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임채덕 ETRI 임베디드소프트웨어연구부장은 “어려움에 처한 국내 제조업 분야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