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향후 200년 안에 신 같은 사이보그가 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베스트셀러 ‘사피엔스(Sapiens:A Brief history of Humankind)’ 저자인 유발 노아 하라리 예루살렘 히브루대학 역사학 교수는 “200년 내 부유한 사람은 컴퓨터와 스마트폰 같은 기술과 자신을 결합, 사이보그(cyborg)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텔레그래프가 26일 전했다.
유발 하라리 교수는 이어 “인간과 기계 융합은 40억년 전 생명이 출현한 이후 생물학적으로 가장 큰 진화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유발 하라리 교수는 “인간 경쟁은 스스로가 느끼는 불만족에서 비롯된다”며 “우리는 유전공학이나 기술을 활용해 스스로를 ‘업그레이드’하려는 유혹에 저항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향후 200년 뒤 호모사피엔스는 생물학적인 조작과 사이보그를 만드는 유전공학을 통해 유기적으로나 무기(non-organic)적으로 스스로를 향상시켜 신성한 존재가 되고 싶어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사이보그 기술이 사회적으로 부유한 층에만 제한될 가능성이 높다고도 경고했다. 가난한 사람은 지금처럼 죽을 수 있지만 부자는 영원히 살 수 있어 빈부격차가 생사의 영역까지 확장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는 인간이 종교, 돈, 인권의식 등 자연에 기반을 두지 않은 ‘허구(Fiction)’를 통해 사회를 형성해 지구를 지배했다고 주장한다. 이 중에서도 종교는 인간이 만들어낸 가장 의미 있는 발명이라는 설명이다. 유발 하라리 교수는 “종교적 미신 없이 사회를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신은 매우 중요하다”며 “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인간은 점점 다루기 쉬워졌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최근 몇 세기동안 인간은 신을 찾지 않아도 될 정도로 강력해졌다”며 “이제 우리는 신 대신 기술을 필요로 한다”고 전했다.
그는 “종교적 관점에서 봤을 때 세계에서 가장 흥미로운 곳은 중동이 아니라 기술과 종교가 결합된(Techno-religion) 실리콘밸리”라며 “그들은 심지어 죽음을 단지 해결해야 할 기술적 문제라고 여긴다”고 말을 이었다.
유발 하라리 교수는 유튜브(Youtube)를 통한 세계사 강의로 알려진 역사학자다. 저서인 ‘사피엔스’는 출간 뒤 폭발적인 인기를 끌어 세계 30개국어 가까이 번역되면서 세계적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국내에는 하반기 출간 예정이다.
김주연기자 pilla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