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을 위한 가전용품 특허 출원이 급증하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장애인 관련 특허 출원은 2007년 이후 꾸준히 증가했다. 이 중 가전생활용품 분야의 특허 출원은 2008년까지는 연평균 80여건에 불과했으나, 2009년부터는 연평균 120여건으로 50%이상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4/676299_20150420134113_371_0001.jpg)
2008년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시행된 후 의수, 의족 등과 같은 장애인 전용제품이 주를 이루던 장애인 관련 출원이 일상에 편의를 제공하는 가전생활용품까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기업은 2008년 이전 5년간(‘04~’08) 104건에서 2009년 이후 5년간(‘09~’13) 거의 두 배인 204건을 출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전생활용품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인구 비율이 10%(‘09년 기준)를 넘어서면서 기업이 이들을 주요 소비자로 인식하기 시작하였을 뿐만 아니라, ‘장애인차별금지법’ 시행 이후 사회 전반에서 장애인의 보편적 편의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기업도 장애인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 개발에 힘쓴 결과로 보인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4/676299_20150420134113_371_0002.jpg)
가전제품 경우는 제품이용을 보다 쉽게 하는 기술이 주로 출원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점점 대형화되는 냉장고의 경우 무거운 문을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에어컨 및 냉장고의 사용 메뉴얼을 음성으로 안내하거나 사용자를 자동 인식하여 미리 설정된 모드로 작동하도록 하는 기술, 바이메탈을 이용해 냄비나 컵에 내용물의 온도를 점자로 표시하여 화상을 방지하는 기술 등이 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4/676299_20150420134113_371_0003.jpg)
한편, 생활 편리 제공하는 기술에서 더 나아가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출원됐다.
구체적인 예로 소리 진동을 이용하여 청각장애인들이 자막 없이도 영화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헤드셋, 점자와 같은 돌출부나 모양 등이 새겨져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할 수 있는 퍼즐, 진동과 모션인식기술을 이용해 시각장애인도 문자입력이 가능하도록 한 터치스크린과 같은 것들이다.
※ 상세한 내용은 IP노믹스 홈페이지(http://www.ipnomics.c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민영기자 myj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