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지역 산학연관의 최대 화두는 단연 창조경제혁신센터다. 이미 개소한 지역이나 개소를 앞둔 지역까지 모두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어떻게 구성 운영할 것인지, 파트너 대기업은 얼마를 내놓아야 모양새가 좋은 것인지, 참여기관 및 지자체는 어떤 사업을 추진해야 임팩트 있는 성과를 낼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
산업 현장에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바라보는 시각은 대체로 두 방향이다.
먼저, 기존의 어떤 조직보다 강력한 추진력에 성과를 나타낼 것이라는 긍정적 시각이다. 그 이유로는 대통령과 그룹 총수를 거론한다. 역대 어느 정부도 이번처럼 대통령이 앞장서 설립과 운영을 독려하고 그룹 총수가 합세해 추진된 사업이 없었다는 설명이다.
“대통령이 끌고, 그룹 총수가 뒷받침하는데 안 될 수가 있겠냐”는 센터에 관계된 대기업 임원의 얘기 속에 그 의미가 담겨 있다.
다른 하나는 용두사미로 끝날 것이라는 부정적 시각이다. 시작만 요란할 뿐 사업 계획이나 방향, 추진 과정에서 고민만 많이 하다 구체적 성과 없이 2년 후에는 사라질 것이라는 견해다. 여전히 와닿지 않는 창조경제, 기존 사업이나 지원기관과의 차별성 부재 등이 그 이유다.
“과거 정부의 산업 및 경제 활성화 정책과 추진 과정을 돌아봤을 때, 과연 이와 비슷한 조직이 없어서 성과를 못 냈겠냐”는 지역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의 말이 부정적인 시각을 대변한다.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성공적인 안착과 이후 말 그대로 창조적 성과는 과거와 다른 조직 문화, 차별화된 운영, 색다른 사업이어야 가능할 것이다.
현장의 공통된 견해는 기존의 수많은 산업 활성화 정책이나 사업, 기업지원 조직과는 확실히 달라야 한다는 점이다.
출발은 분명 달랐다. 대통령과 그룹 총수라는 정계와 재계의 톱이 직접 챙긴다는 점에서 그렇다. 하지만 그 이후가 더욱 중요하다. 차별화된 사업과 참여 산학연의 개방적 사고를 유도하는 창조적 운영을 더욱 고민해야 한다.
창조경제혁신센터가 경제 활성화를 이끈 역대 최고의 지역 현장 인프라로 남을지, 아니면 빛 좋은 개살구처럼 실망 속에 흔적 없이 사라질지는 운영 원년인 올 한 해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에 달렸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