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LNG가격은 찔끔 인하해 놓고...

정부가 정유·주유소 업계 가격을 압박하자 일각에서는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인하와의 형평성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정부가 도입과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LNG 가격 인하 폭은 크지 않은 상태에서 민간이 공급하는 기름 값만 건드리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다.

한국가스공사는 새해 들어 도시가스 요금을 서울시 소매요금 기준으로 평균 5.9% 내렸다. 가스 요금의 근간이 되는 LNG 가격은 유가의 70~80% 수준에서 연동되기 때문에 국제 유가 하락에 따라 국내 가격을 인하했다는 것이 공사 측 설명이다.

하지만 현재 국제 LNG 가격을 보면 국내 가격은 추가 인하 요인이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유화 제품 정보제공 업체 플래츠에 따르면 JKM(한국, 일본 LNG 인도분 현물가격)은 지난해 초 MMBtu당 18~19달러에서 이달 도착하는 가격이 11달러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가스공사의 장기 공급 가격과 비교하면 대략 20% 가량 낮은 것으로 추산된다. 바꿔 말하면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는 가스 가격이 국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보다 20% 가량 비싸다는 뜻이다. 가스 가격 인하가 소폭에 그친 것은 경직된 우리나라 가스 도입 구조가 원인이다. 가스공사는 국내 유일의 가스 도입 기업이다. 수급 안정에 치중하다 보니 해외에서 LNG를 구매할 때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한다. 보통 20년간 해외 가스전과 계약하고 인도한 LNG는 유가와 연동해 정산한다. 올해 초부터는 가장 많은 물량을 수입하는 예멘 LNG와의 가격 정산을 일본 수입 원유가격(JCC) 연동 방식으로 전환했다. JCC 기준 유가는 국제 유가에 늦게 반응한다. 지난해 6월 배럴당 110달러에서 9월 106.22달러로 소폭 하락하는 데 그쳤다.

현재 정유사의 국내 석유 제품 공급 가격이 40%가량 내린 것과 비교하면 LNG 가격 인하는 시기도 늦고 그 폭도 작아 보인다. 가스공사는 국제 유가가 국내 LNG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데 3개월의 시차가 있어 국내 반영이 늦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가스공사가 LNG 도입에서 이윤을 크게 남기는 것은 아니지만 국제 LNG 가격 인하폭에 비해 국내 가격이 늦게 반응하는 것은 사실”이라며 “정부가 도입 체계, 방식을 개선해 가스 가격을 낮출 수 있는 방법 등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Photo Image

최호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