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차량 안전도 평가기준 바뀐다…국내 업계 대응 `발등에 불`

유럽 신차안전도평가(유로 NCAP)에서 자동긴급제동(AEB) 기능 평가가 세분화되고, 차선유지지원(LKA) 등 첨단 안전 시스템 평가 항목이 추가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유럽에 자동차를 수출하는 우리나라 업계도 대응이 절실한 상황이다.

14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스마트카 PD실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유로 NCAP 2016~2020년 로드맵’을 확정하고 평가 방법을 개발 중이다. 우리나라 자동차가 유럽에서 높은 안전성을 인정받으려면 이 기준을 준수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업계 대응에도 비상이 걸렸다.

우선 올해 본격 도입된 AEB 평가가 더욱 세분화된다. 현재 ‘차 대 차’ 기능만 평가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보행자, 자전거, 주·야간 상황, 저조도 환경에서도 AEB 기능을 평가해 종합평가 등급에 반영한다. 2017년까지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2018년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그 중에서도 보행자 충돌 방지 기능 평가는 2016년부터 시작된다. 2016년도 유럽향 신차부터 적용을 받는 셈이어서, 신차 개발 기간 등을 고려하면 당장 지금부터 대응이 필요한 실정이다.

LKA 항목도 내년까지 평가 방법 개발을 마치고 2016년부터 신설한다. 또 2018년부터는 차체자세제어장치(ESC) 등과 접목을 통해 자동차 스스로 차선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도 평가한다. ESC는 이미 장착이 의무화된 상황이어서 향후 중점 평가 항목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주행 속도를 조정하는 속도보조시스템(SAS) 평가도 2016년 추가된다. 유럽은 도로 별 제한 속도가 기상·도로 상황에 따라 바뀌기 때문에, 표지판을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춰야 상위 등급을 받는다.

전반적으로 지능형운전자보조시스템(ADAS) 기반의 첨단 안전 기능 평가를 강화해, 사고 시 피해를 줄이는 차원을 넘어 사고 자체를 방지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에 따라 우라나라 자동차 업계, 특히 중소 부품 업계 대응이 시급하다는 분석이다.

KEIT의 산업기술 수준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술 수준은 2013년 기준 유럽 대비 83.8%로, 1.4년 가량 기술 격차를 보인다. 이미 글로벌 단위 생산 체계를 구축한 국내 완성차 제조사가 유로 NCAP 대응을 위해 해외 기술을 적극 도입할 경우 국내 부품 업계 피해가 우려된다.

KEIT 관계자는 “자동차 업계는 차급 별로 목표 등급을 설정하고 대비를 시작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특히 핵심 부품을 공급해야 할 부품 업계가 기계 기반에 머물러 있어, 전자·센서 기반 기술로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