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억원을 투입한 경찰청 교통정보시스템(UTIS)이 실제 도로의 교통정보를 제대로 수집하지 못하는 등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2005년 서울·인천·부천·광명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올해까지 20만명 이상 도시 35곳에 UTIS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총 3021억원을 배정, 올해까지 2600억원을 투입한다.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박남춘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인용해 6월 현재 시스템의 정보수집률은 53%에 불과하다고 24일 밝혔다. 극심한 교통혼잡을 겪는 서울과 인천도 56%와 60%로 낮았다. 교통정보 수집장비를 탑재한 프로브차량이 필요 대수에 못 미치고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노변기지국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사업 홍보 부족에 따른 활용도도 저조하다. 경찰청이 시스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제공하는 무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인 ‘교통정보e’ 앱의 내려받기 수는 현재 5만건에 불과하다. 누적 내려받기가 1000만건이 넘는 SK플래닛의 티맵과는 큰 차이가 난다.
지방자치단체가 통합 발주해 대부분의 사업을 대기업이 수주한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삼성SDS, LG CNS, SK C&C, KT 등이 수주한 금액이 1580억원에 이른다. 내비게이션 단말기 추가 공급이 이뤄지지 않은 것도 문제다. 단말기 보급이 추가적으로 이뤄지지 않으면 교통정보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박남춘 의원은 “수천억원을 투입한 사업이 제대로 된 평가도 없이 확대되면서 대기업 배만 불렸다”며 “사업 전면 재검토와 사업 정상화를 위한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