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여성 필즈상 수상자 탄생…남미권 박사도 첫 수상 영예

수학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 올해 수상자로 마리암 미르자카니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등 4명이 선정됐다. 특히 올해 처음으로 여성 수상자, 남미권 학위를 가진 수상자가 탄생해 눈길을 끌었다.

세계수학연맹(IMU)은 1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2014 서울 세계수학자대회(ICM) 개막식을 열고 필즈상 수상자 4명, 네반리나상 수상자 1명, 가우스상 1명, 천상 1명, 릴라바티상 1명 등 수상자 8명을 발표했다.

수학계 최고 권위의 필즈상은 아르투르 아빌라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CNRS) 석학 연구원, 만줄 바르가바 미국 프린스턴대 석좌교수, 마틴 헤어러 영국 워릭대 교수, 마리암 미르자카니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수상했다.

미르자카니 교수는 필즈상 시상 이래 처음 나온 여성 수상자다. 1977년 이란에서 태어나 2004년 미국 하버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기하학과 동력학계 분야에서 리만곡면, 모듈라이 공간에 관한 연구로 업적을 인정받았다.

그는 “젊은이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 집중하고, 무엇보다 좋아하는 것을 하는 게 정답”이라며 “저 말고도 더 많은 여성들이 수학에 진출하고 상을 받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아르투르 아빌라 연구원은 브라질 태생으로 브라질 국립 순수응용수학원(IMPA)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남미권 국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필즈상 수상자는 아빌라 연구원이 처음이다.

또 대수적 정수론 분야 연구에 공헌한 만줄 가르가바 교수, 확률편미분방정식 연구에 기여한 마틴 헤어러 교수가 최고 수학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정보과학 등 수학 관련 학문 분야에 업적이 있는 수학자에게 수여되는 네반리나상은 수브하시 코트 미국 뉴욕대 교수가, 공학과 비즈니스 같은 수학 이외 실생활 분야에 공헌한 수학자에게 수여되는 가우스상은 스탠리 오셔 미국 캘리포니아대(UCLA) 교수가 수상했다.

필립 그리피스 프린스턴 고등연구원 명예교수는 나이와 직업에 상관없이 수여하는 천상을, 아디르안 파엔자 아르헨티나 과학 저널리스트는 수학 대중화에 공헌한 학자에게 수여하는 릴라바티상을 수상했다.

필즈상 시상식과 함께 개막한 ICM 2014는 4년마다 치러지는 수학계 올림픽으로, 21일까지 9일간 열린다. 50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필즈상 수상자를 비롯한 수학계 석학들의 강연이 이어지고, 영화 상영, ‘수학과 바둑 이벤트’ 등 대중적 프로그램도 마련됐다. 수학식을 3차원 조형물로 표현하는 이미지너리 체험전은 20일까지 전시된다.

13일 열린 개막식에는 박근혜 대통령과 잉그리드 도브시 IMU 회장 등 국내외 주요인사를 비롯한 관람객과 수학계 관계자 3200여명이 참석했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