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6개 알뜰폰업체의 우체국 수탁판매 계약 종료를 앞두고 우정사업본부의 고민이 시작됐다.
형평성을 고려해 업체를 교체해야 할지 혹은 기존 업체를 그대로 두고 추가로 업체를 선정해야 할지가 고민의 핵심이다.
새 업체를 선정할 경우 대기업 계열을 포함시켜야 하는지도 쟁점 중 하나다.
내달 27일 우본과 6개 알뜰폰업체의 계약이 종료된다. 지난해 알뜰폰 수탁사업을 시작하면서 미래창조과학부는 형평성을 위해 시장 상황에 따른 업체 교체를 언급했다. 계약 갱신 시점이 다가오면서 알뜰폰 업계 이목이 우본의 결정에 집중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업계는 업체 교체 대신 신규 업체 선정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기존 6개 업체를 전면 교체할 경우 업체별 다른 사업 체계가 정착되는데 시간이 걸린다. 우체국은 사업 초기 적잖은 시행착오와 혼란을 겪었다. 우본 역시 6개 업체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계약이 갱신될 것으로 보고 있어 업체 추가 가능성이 크다.
우본의 수익성 제고 의지도 이같은 전망에 힘을 보탠다. 우체국은 알뜰폰 판매 시와 사용료 중 일부를 수수료로 받는다. 알뜰폰 사업은 새로운 수익원이다. 우본이 알뜰폰 판매 우체국을 지속적으로 늘리는 이유다. 우본은 업체를 추가하면 이전보다 수익을 높일 수 있다.
우체국 판매 효과가 구체화되고 있다는 점도 관심을 고조시키는 이유 중 하나다. 우체국은 알뜰폰사업을 시작한지 7개월 만에 10만여 가입자를 모았다. 인지도와 신뢰성 제고에 도움이 됐다는 게 6개 수탁업체의 생각이다. 판매 우체국이 627개로 늘어나면서 알뜰폰업체 대부분이 우체국 입점을 노리고 있다. 고객 접점을 늘리고 꾸준한 판매를 보장받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사업자가 늘어나도 투입 인원은 한정돼 있어 서비스 품질이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우본 내 제약 사항도 많다. 지난해 사업 초기 우체국 내부에서 알뜰폰 수탁판매 사업을 두고 적잖은 반발이 일었다는 후문이다.
우체국 알뜰폰 판매 직원은 본인 업무 외에 알뜰폰 판매를 추가로 담당해야 한다. 직원 피로감이 높을 수밖에 없다. 수익증대도 좋지만 무턱대고 수탁 업체를 늘릴 수만도 없는 것이 이 때문이다.
만일 추가 계약을 체결한다면 CJ헬로비전이나 KCT 등 대기업 계열사도 대상으로 해야 할지도 논의 사항이다. 알뜰폰사업 취지 상 대기업 계열은 제외돼야 한다는 게 중소업체의 주장이다. 하지만 형평성과 고객 서비스 품질을 고려하면 대기업 참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대기업이 참여하면 보조금 등을 통해 지금보다 더 저렴한 요금제가 나올 수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대기업의 우본 입점은 국민을 설득할 수 있고 정당성을 확보해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지금 정서상으로는 어려워 보인다”며 “알뜰폰협회 차원에서 좋은 아이디어를 건의하고 업체 간 협의를 통해 상호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만 우본도 검토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체국 알뜰폰 수탁판매 업체는 지난해 알뜰폰 협회가 이통 3사별로 2개씩 업체를 추천해 선정됐다. 이번 업체 선정은 우본이 결정하기 때문에 그만큼 고민이 클 수밖에 없다. 우본은 이달 안으로 결론을 내린다는 방침이다.
6월 말 기준 알뜰폰 가입자 현황
자료:미래창조과학부. 우=우체국 수탁판매 업체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