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택 채권단이 통신 3사에 채권 1800억원의 출자전환 여부를 8일까지 회신해 달라고 한 가운데 통신사들은 이날 오후까지 고심을 거듭하며 결론을 내지 못했다. 출자전환을 거부하게 되면 몰고 올 파장이 크기 때문에 각 통신사는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일각에서는 최종 마감시한이 다시 연기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8일 오후 5시 현재 업계에 따르면 통신 3사 내부에서는 여전히 비관적인 의견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아직 논의 중”이라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통신사가 출자전환을 하지 않으면 팬택의 워크아웃은 종료되고 법정관리 절차를 밟게 된다. 법정관리는 기업회생 절차의 하나지만 사실상 파산절차나 마찬가지기 때문에 통신사는 비난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통신사가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면서 최종 결정이 또다시 유예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채권단이 지난 4일이었던 출자전환 결정 시한을 8일까지 한 차례 늦춘 것은 통신사가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기 때문이다. 채권단이 통신사를 압박하면서 출자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마감시한을 유예할 확률이 크다는 설명이다.
규정상 이통사가 참여 의사를 밝힐 수 있는 최종마감 시한은 채권단의 경영정상화 방안 의결일인 4일부터 10일 뒤인 이달 14일까지다. 채권단 관계자는 “결정 시한 연장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며 통신사에서 시한 연장을 요청해오면 거부하기 어렵다”는 뜻을 밝혔다.
그의 말대로 통신사가 연장을 요청하면 최종 결정일이 며칠 미뤄질 공산이 크다. 통신사가 8일 자정까지 특별한 답변을 주지 않아도 채권단이 최종 결정을 연기할 수 있다. 하지만 통신사가 거부 의사를 밝히거나 채권단이 더 이상 기다리지 않고 법정관리를 결정하면 팬택은 구조조정이나 매각 수순에 들어갈 수 있다.
팬택 관계자는 “향후 인수합병(M&A)이 진행되더라도 출자전환이 돼서 영업력과 기술력이 보장되고 부채가 줄어들어야만 바람직한 M&A가 이뤄진다”며 “이통사가 출자전환을 하지 않으면 팬택 제품을 사줄 리 만무하고 향후 비즈니스가 모두 중단되기 때문에 이통사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