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재난망 필수기능 ‘직접통화’ 언제 가능해지나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LTE 기반 재난통신시스템 단말 개발 사업 목표

정부가 추진하는 롱텀에벌루션(LTE) 기반 국가재난안전통신망(재난망) 사업의 성공 요소로 ‘직접통화(D2D)’ 기능 구현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아직 LTE 기술로는 기지국 없는 사각지대에서 단말기 간 직접통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주파수 대역 확보와 함께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혔다.

4일 무선통신 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SK텔레콤이 수주한 ‘공공안전서비스를 위한 LTE 기반 재난통신시스템, 단말 개발’ 사업의 핵심 과제 중 하나가 바로 직접통신 기능 개발이다. 당초 미래창조과학부는 순수 연구 목적으로 해당 과제를 선정했지만 재난망 사업이 LTE로 가닥을 잡으면서 두 사업 간 연관성이 높아졌다.

재난망에 직접통화 기능이 필요한 이유는 전쟁과 지진 등 대형 재난 때문이다. 전기가 끊기고 기지국이 기능을 상실하면 단말기 간 직접통화가 필요하다. 산악 지대 등 기지국을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직접통화는 큰 힘을 발휘한다. 2011년 행정안전부는 ‘공고 제2011-76호’에서 소개한 재난망 주요 요구기능 중 직접통화를 가장 먼저 명시했다.

2010년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재난망 기술을 검증할 당시 와이브로가 애를 먹었던 것도 직접통화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시 와이브로 진영은 단말기에 별도 통신장치를 달아 검증을 통과했다. LTE는 태생이 기지국을 거치도록 설계됐기 때문에 새로운 표준이 필요하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올 초 단말 간 직접통신 기술인 LTE-D2D 시연에 성공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기지국에서 무선 자원제어 등 일부 제어를 받는 과도기적인 형태다. 기지국 도움이 전혀 없는 LTE 단말기 간 직접통화 구현에는 시간이 필요한 전망이다.

ETRI 관계자는 “제품 개발을 위해서는 기술규격(표준)이 필요한데 이동통신 표준화 기구인 3GPP에서 연말 경 초안이 나올 예정”이라며 “이 규격을 기반으로 제품 설계, 구현, 테스팅 과정을 거치면 2016~2017년에 제품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부가 추진하는 ‘공안전서비스를 위한 LTE 기반 재난통신시스템, 단말 개발’ 사업은 4년 일정으로 추진된다. 당장 내년에 직접통화가 가능한 LTE 단말기를 보기는 어려울 수 있다는 설명이다. 결국 정부 발표대로 2015~2017년에 재난망 사업이 마무리되려면 두 가지 시나리오가 예상된다.

우선 직접통화 등 일부 기능 없이 LTE 재난망을 구축하는 경우다. 이후 해당 기능이 개발되는 대로 추가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에 일정 기간 동안은 일부 기능이 없는 재난망을 써야 한다.

또 복합 단말기를 개발해 활용하는 방식이다. LTE와 주파수공용통신(TRS) 방식을 모두 쓸 수 있게 되면 직접 통화가 필요할 때는 TRS를 이용하면 된다. 기존 아이덴이나 테트라 망을 일부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정부가 LTE를 선정한 명분은 ‘신기술’이라는 점에 있다. 기존 기술을 혼용하면 ‘굳이 왜 LTE를 선정했는지’를 두고 논란이 일 가능성이 있다.

무선통신 업체 한 관계자는 “LTE 기반 재난망은 직접통화 외에도 동시접속자 수 증대 등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며 “이 과제를 해결해야만 일정에 차질 없이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료:미래창조과학부>

자료:미래창조과학부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