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는 일찍부터 LTE 재난망에 관심을 가져왔다.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한 미래지향적 기술이라는 점뿐만 아니라 기존 이동통신서비스에 미치는 파급 효과 등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미국은 2012년 6월 ‘공공안전 LTE(Public Safety LTE)’ 국가 정책을 발표했다. 차세대 공공안전망 기술로 LTE를 선정하고 사용 주파수를 700㎒로 확정했다. 기술 개발과 표준화, 장비 안정화를 거쳐 향후 20년 이내 모든 재난망을 LTE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미국은 주파수공용통신(TRS) 기반 APCO-P25 방식으로 재난망을 구축해 사용 중이다. 하지만 영상과 데이터 전송 등 멀티미디어 기능 요구가 늘어나면서 LTE 기반 재난망 구축을 시작했다. 정부와 민간이 파트너십을 맺고 비용 문제도 해결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테트라 기반 독자망을 구축하고 있지만 데이터 통신에 LTE 서비스를 사용한다. 상용망 사업자인 사푸라(SAPURA)가 LTE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복합 단말기를 사용한다.
유럽은 철도 분야에서 2세대 통신 방식인 GSM-R을 사용한다. 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LTE 기반 차세대 철도 통신망과 표준화를 연구 중이다. LTE-R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고 기존 호환성과 검증해 2020년까지 GSM-R에서 LTE-R로 전환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영국은 LTE 기반 응급서비스망(ESN) 도입을 추진 중이며 싱가포르도 4년 내 LTE 재난망으로 업그레이드 계획을 세웠다. 유럽은 아직 대부분 테트라 기술을 쓰고 있지만 LTE 기술이 성숙하고 안정화되면 LTE로 전환할 계획이다.
LTE 기반 재난대응 통신에 필요한 국제 표준은 3GPP 등 국제기구에서 2014년(그룹통신), 2016년(공공안전망), 2020년(LTE 상 PTT, 멀티미디어 그룹통신 등) 일정으로 마련된다. 당분간은 기존 무선통신 기술을 주 통신망으로, LTE는 데이터 전용으로 혼용하다 5~6년 후 LTE로 전환한다는 게 공통적 움직임이다.
무선통신 업계 관계자는 “국제 표준 개발이 늦어져 LTE를 재난망으로 활용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며 “하지만 세계 최고 수준의 통신 기술을 자랑하는 우리나라가 표준을 먼저 개발해 제시하면 쉽게 해결될 일”이라고 강조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