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혁신센터]초연결 디지털 혁명 선도 국가 만든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IoT 혁신센터 주요 기능

미래창조과학부는 2020년까지 IoT 시장을 30조원 규모로 키운다. IoT 관련 전문기업 50곳 평균 매출액을 2020년까지 1000억원으로 끌어올리는 등 초연결 디지털 혁명 선도국가 실현 목표를 세웠다.

미래부는 최근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안)’을 내놨다. 창의적 아이디어를 지닌 중소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와 센서, 정보보호 등을 새로운 경제 성장 원동력으로 활용하는 전략이다.

우선 글로벌 기업과 대기업, 통신사 등과 협력해 IoT 개방형 플랫폼을 개발한다. 이를 기반으로 생태계 전반의 기업 참여를 유도해 IoT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한다. IoT 서비스가 전 산업과 전국에 확산되도록 각 부처와 지자체, 수요기업 등 범부처 차원에서 추진한다.

특히, 개방형 플랫폼을 활용해 누구나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로 전환한다. 현재까지 IoT 기술은 이용기관이나 기업별로 서로 다르고 폐쇄적인 플랫폼에서 개발됐다. 개별 시스템 간 호환성이 낮고 중복 개발 문제, 환경변화 대응도 늦다.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는 규모 경제 실현으로 비용부담을 줄인다. 아이디어가 서비스로 실현돼 개인 잠재력이 극대화되는 환경이다.

정부는 2017년까지 유망 IoT 플랫폼과 서비스 10개를 발굴한다. 2020년까지 30개로 늘린다. 이용자 참여형 ‘초연결사회 포럼(가칭)’을 운영해 규제와 프라이버시 문제 등 다양한 사회 이슈를 논의한다. 이용자 삶의 질 지수를 개발해 측정한다.

인프라도 확충한다. 2017년까지 주요 IPv6 인프라 주요 가입자망 구축을 마친다. 2020년까지 5세대 통신을 상용화하고 2017년까지 기가인터넷 커버리지를 90%까지 끌어올린다.

정보보호 인프라도 강화한다. 올해 안에 ‘사물인터넷 정보보호 로드맵’을 개발한다. 사고발생시 신속한 대응과 분석을 위한 정보공유도 힘쓴다. 기획단계부터 프라이버시 중심 디자인(Privacy by Design) 개념을 도입한다.

스마트 디바이스 산업 육성도 포함된다. 오픈소스 하드웨어를 개발한다. 낮은 비용으로 디바이스 시장에 진입을 유도한다. 창의 디바이스 랩을 설치해 기기에 특화된 생태계를 만들고 지원한다. 스마트 센터 연구개발과 실증·시범 사업도 연계한다.

IoT는 산업 초기단계인 만큼 정보보호를 제외하고 직접적인 규제는 없다. 정부는 기존 규제와 충돌하는 영역은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 상시적으로 개선사항을 논의한다. 규제가 없는 IoT 실증단지 조성 등 법제도 기반도 정비한다.

<해외 주요 국가 정책 추진 현황>

해외 주요 국가 정책 추진 현황

<한국정부 IoT 목표>

한국정부 IoT 목표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