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ICT 장비업계는 공공시장 진입이 한결 수월해질 것이라며 수요예보 제도를 반겼다. 반면 아직 제도 도입 초창기이기 때문에 실효성이나 데이터의 신빙성에 대해서는 조심스런 입장을 보이는 곳도 적지 않았다. 수요예보도 좋지만 공공 분야 입찰에 국산 제품이 공정하게 참여할 수 있는 환경 마련이 먼저라는 주장도 나왔다.
한 네트워크 업체 대표는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달리 미리 많은 제품을 개발해두고 수요에 대비할 수 없다”며 수요예보 제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일찍부터 많은 중소기업이 공공기관의 미래 ICT장비 수요와 품목에 관심이 많았다는 설명이다. 그는 제도가 정착되면 중소기업이 더 효과적으로 공공분야 사업을 준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는 ICT장비 수요예보가 공공 분야 정보 습득에서 소외됐던 국산장비 제조사나 취급사에 전반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기존에는 특정 시스템통합(SI)이나 네트워크통합(NI) 업체에만 제공되던 정보를 미리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국산 업체에 기회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영업비용을 비롯해 공공시장 진입에 수반되는 비용도 크게 절감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 같은 시도 자체만으로 공정한 거래를 위한 관행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며 국산장비 사용률도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조사결과가 실제 구입으로 이어지는 비율이 어느 정도일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공공 분야는 숫자를 부풀리는 경우가 많아서 대략적인 숫자일 뿐 신빙성 있는 데이터로 보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
외국 서버를 국내 유통하는 한 서버업체 대표는 “ICT 장비 시장은 부침이 심하지 않고 평탄하게 성장세를 이어오는 분야”라며 “수요예보를 기반으로 사업 계획을 세우려는 영업조직은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요예보에 앞서 국산장비의 공공분야 사업 확대를 위한 현실적인 대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수요예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업을 준비해봤자 입찰 자체에 참여하기가 힘든 경우가 많은 게 현실이라는 지적이다.
통신사 위주에서 공공분야로 사업을 확대하는 한 네트워크 업체 관계자는 “각 기관별로 어느 정도 정확한 수요 데이터가 나오느냐에 따라서 일정 부분 도움이 될 수도 있다”며 “하지만 국산 장비가 공공기관에 못 들어가는 이유는 수요 데이터가 없어서라기보다는 외산을 선호하는 공공 분야의 관행 때문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