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융합 보안사고 피해 26조원…별도 관리기구 설립 시급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스마트폰 보안사고시 타 산업 피해 추정

#스마트기기 사용에 푹 빠져 있는 30대 직장인 K씨는 집안 보안을 이유로 스마트폰으로 집 상황을 볼 수 있는 CCTV를 설치했다. 그러나 스마트폰에 탑재된 내비게이션이 해킹되어 누군가에게 오랫동안 사생활을 감시당하고 있었다.

#서울 상암동에 거주하는 주부 H씨는 자신만이 간직하고 있던 동호회 사람들과 수영장면을 담은 사진이 인터넷에 올라온 것을 보고 놀랐다. 포털 클라우드에 가입했는데 누군가 그녀의 계정을 해킹한 것이다.

모든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시대 도래로 ‘융합보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산업연구원은 21일 ‘사물인터넷 시대의 안전망, 융합보안산업’ 보고서에서 갈수록 빈번해지고 피해규모는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보안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국내 융합보안 피해는 2015년 13조4000억원에서 2030년 26조7000억원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융합보안 사고는 제조·서비스업, 국가기반시설 등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우리나라 산업의 핵심인 제조업에서 보안사고가 나면 생산 차질은 물론이고 국가신인도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산업별 피해 규모는 자동차가 연간 약 24조원, 스마트폰이 16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또 통신·교통·전력망 등 국가기간시설 보안 사고는 국가적 재앙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우리나라 인터넷망의 단 1%에 문제가 생겨도 약 1조4000억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다.

서비스업, 특히 금융업에서는 이미 하루가 멀다 하고 개인정보 유출, 해킹 등 보안 사고가 터지고 있어 경각심이 고조된 상태다.

산업연구원은 선진국의 정보보안 관리·감독 체계가 통합된 반면에 우리나라는 부처별로 분산돼 있어 사고 발생 때 정책 혼선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국가·공공 분야는 국가정보원의 국가사이버안전센터가, 민간 분야는 방송통신위원회 산하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사고대응센터, 국방 분야는 국군사이버사령부가 각각 맡는 식이다.

황원식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향후 보안피해는 국가 전방위로 확산될 수 있어 방재·안전시스템과 유기적으로 결합해 사고를 종합 관리할 수 있는 기관 설립이 시급하다”며 “융합보안산업을 육성하려면 국내 IT산업 인프라를 기반으로 산업 간 협업과 국제표준을 선도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30년 융합 보안사고 피해 26조원…별도 관리기구 설립 시급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