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중국 정부, 서비스 산업 중흥전략 `눈길`

Photo Image

해외 자본시장으로 빠져나가는 자국 IT 기업을 돌아오게 하기 위한 중국 정부의 의지도 강력한 상황이다. 중국은 외국인 투자자의 서비스 기업 인수를 막는 등 해외자본 유입을 막으면서도 내수시장 진작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01년에서 2010년까지 중국 서비스 산업 생산액은 연평균 16.3% 증가율을 기록했다.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00년 39%에서 2010년 43%로 늘어났다.

중국 정부는 앞서 12차 5개년 계획(2012~2015년)을 통해 서비스업의 발전방향과 육성의지를 표명했다. 이를 근거로 ‘서비스업 발전 12·5 계획’과 ‘서비스무역 발전 12·5 계획’을 추가로 공표, 서비스산업 진흥 및 해외시장 진출의 종합적인 지침과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중국은 △서비스업 경제 비중 증대(2015년까지 서비스업의 GDP 비중 47%로 제고) △질적 성장(IT인프라 도입과 서비스업의 산업구조 조정, 서비스업의 신흥영역 개척, 농촌 서비스업 수준 제고) △서비스업의 개혁 개방 추진(국유 독점부문 개혁, 공공부문 개혁추진 및 시장 메커니즘 도입, 대외개방 확대 및 국제화 수준 향상) △서비스업 고용강화(2015년 서비스업 종사비중 38.5%로 제고) 등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 오는 2015년 서비스 수출 6000억달러 달성과 고부가가치 서비스 비중을 전체 45%로 만들어 무역 구조를 고도화하기 위한 각종 지원 정책을 실행에 옮기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적극적으로 서비스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며 “서비스 산업에서 2000년대 외국인 투자가 크게 증가했다”고 전했다.

반면에 중국이 외국자본에 대한 기존 규제를 직접적으로 풀지 않는 이상 이 같은 지원책이 중국 IT기업의 미국 증시행을 방지하는 효과는 거두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차이나데일리는 “최근 자국기업의 미 증시 상장에 대해서는 제재를 가하지 않고 있지만 중국 IT기업이 정상적인 중국 정부의 지배구조로 돌아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중국) 정부도 앞으로 자본시장 개방수위를 높여가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미나기자 mina@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