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발빠른 일본의 미세먼지 대응

Photo Image

중국발 미세먼지의 여파는 우리나라를 넘어 이웃나라 일본까지 다다른다. 영향은 우리나라보다 적지만, 일본은 미세먼지와 관련된 다양한 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가 과거 먼지정보를 사용해 부정확한 미세먼지 예보를 하고 있는 동안 일본은 자체적으로 중국의 최신 미세먼지 정보를 수집하는데 주력해 왔다. 중국 기상당국에 관련 데이터를 공유하는 조건으로 주요 미세먼지 발생지역에 직접 관측 장비를 설치한 것이 대표적이다.

일본 환경성은 지난해 12월 △국민의 안전·안심 확보 △환경기준 달성 △아시아의 청정대기 공유를 목표로 미세먼지에 대한 종합대책을 제시한 정책 패키지를 발표했다. 올해부터 적극적인 미세먼지 대책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우선, 미세먼지 예보를 목표로 시뮬레이션 모델을 고도화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또 국가적 합의와 주의 환기를 위해 미세먼지 전문가회합 운용방침을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중국과 2015년부터 미세먼지 저감과 산업 협력을 본격화하는 것으로 양국 간 합의를 도출했고, 2017년에는 총 사업비 4176억원을 들여 초미세먼지 관측용 인공위성을 발사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2018년에 발사하는 기상관측용 인공위성에 대기오염 관측 센서를 포함시킨다는 예정이다. 미세먼지 전용 인공위성 발사는 아직 계획이 없다.

일본은 중국 현지에 미세먼지 관측장비 설치 이외에도 자국 현지에 500대가 넘는 초미세먼지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이를 1300대까지 늘려 미세먼지 대응능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기상업계는 기상청이 자체 단독 예보모델과 예보관만 활용하기 보다는 유관기관, 대학, 민간사업자 등이 생산하는 정보도 활용해 종합적으로 예보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반기성 케이웨더 예보센터장은 “앞으로 여름을 제외한 모든 계절에서 미세먼지 공격은 계속될 예정이지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체계는 아직 미약하다”며 “기상청 자체 정보는 물론이고 민간과 해외 정보까지 다양하게 취합해 활용하는 종합 예보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