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김진화 한국비트코인거래소 이사(공동설립자)

비트코인 ‘존폐론’을 꺼내자 김진화 한국비트코인거래소(KORBIT) 이사는 “존재 여부를 논하기 보다 속에 들어있는 가치를 봐야할 때”라고 말했다. 1990년대 중반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의 ‘냅스터’ 서비스가 MP3 문화를 만들었지만 결국 냅스터는 없어져도 우리가 MP3 파일을 듣고 있는 것과 같은 원리라 빗댔다. 김 이사는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응용·발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Photo Image

비트코인 기술이 갖는 의미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이사는 “리먼브라더스가 파산했다고 금융 시스템의 존폐를 이야기하지 않고, 시중은행의 시스템에 이상이 생겼다고 한국은행의 발권시스템을 문제삼지 않는다”고 말했다. 일본 거래소 마운트곡스 파산을 포함한 일련의 부정적 사건을 계기로 존재의 위기를 연관짓는 일도 무의미하다는 말이다.

인류 역사상 최초로 금융기관이나 국가 개입없이 클라우드 장부에 기록하며 투명한 금융거래가 가능하게 한 새 기술이란 점에 주목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관리·운영 시스템과 도덕 문제도 비트코인 자체와 별개. 김 이사는 “마치 ‘인터넷’처럼 일상과 사회의 변화를 가져올 새 기술로 보면 비트코인이 화폐의 가치를 지니느냐가 중요하지 않다”며 “화폐로서 비트코인과 기술로서 비트코인을 구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해 비트코인이 전자상거래·게임 업계의 거래 활성화로 실생활에 쓰이는 친근한 기술이 됐다는 점에 주목한 김 이사는 “비트코인이 설령 화폐로서 가치를 잃더라도 그 기술은 영속할 것”이라며 “물물교환을 위해 필요했던 기존 화폐를 넘어 세계 어디서도 금융거래를 이용할 수 있는 첫 기술이란 점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소개했다.

김 이사가 추산하는 국내 비트코인 거래 인구는 5만명가량이다. 한국은 기술적 호기심으로 접근하는 사람이 투기 관심을 가진 이보다 많은 점이 중국과 차이점이라고 지적했다. 기존 화폐 대비 관리·거래·운영 비용이 싸다는 장점을 필두로 산업계 적용이 확산될 것이란 전망이다.

비트코인을 합법화하고 세금을 걷는 독일이 현명하다고 판단했다. 김 이사는 “독일이 비트코인에 세금을 매긴 것은 향후 보편화될 기술에 대한 실사구시적 조치”라며 “베를린은 이미 비트코인 사업가들로 붐비며 예술가와 어우러져 있다”고 덧붙였다.

보안 문제도 관리·보관 시스템의 허술함, 혹은 운영자의 도덕성 문제가 노출된 것 일뿐 비트코인 자체가 해킹된 것은 아니란 것이다.

김 이사는 “어떤 기술이 유용하고 신뢰할만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져 보편화되고 문제점이 나타난다면 당국이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장점은 강화시킬 정책을 내놔야 한다”며 “좋은 인터페이스와 애플리케이션이 많이 나와 친숙한 기술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유효정기자 hjyou@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