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편되는 한반도 산업지도
지난해 11월 윤종록 미래창조과학부(미래부) 2차관과 경대수 국회의원, 문인 국토부 공공기관지방이전추진단 지원국장 등 중앙부처 고위관료와 지역 국회의원이 충북 진천·음성 혁신도시에서 자리를 같이 했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신청사 착공식 때문이다.
윤 차관 등은 혁신도시로 이야기 꽃을 피우며 혁신도시가 지역발전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이구동성 강조했다.
충북 혁신도시는 10개 혁신도시 중 수도권과 가장 가까워 더 주목받는 곳이다. 충북 음성군 맹동면, 진천군 덕산면 일대 6925㎢에 조성된다.
충북은 이날 기공식을 한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을 비롯해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가스안전공사, 국가기술표준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등 11개 공공기관이 들어선다. 이중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지난해 12월 이미 입주식까지 마친 상태다.
전국 각 혁신도시에 입주하는 기관이 하나둘 늘어가면서 지역 기업과 지원기관들이 `혁신도시 특수`를 예상하며 들떠 있다.
공공기관 이전으로 주변에 관련 기업과 대학, 연구소가 들어서면서 산업 지형도마저 새롭게 그려지고 있다.
국가정책의 한 축으로 부상한 혁신도시는 정부가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계기로 전국 성장거점 지역에 조성하는 미래형 도시를 말한다. 충북을 비롯해 △경북 △경남 △강원 △전남 및 광주 △전북 △부산 △대구 △울산 △제주 등 전국 10곳에 조성된다. 공공기관뿐 아니라 기업과 대학, 연구소까지 들어설 예정이어서 지역의 새로운 성장 거점이자 클러스터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지방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은 총 147개다. 이중 113개가 10개 혁신도시에 자리잡는다. 나머지 18개 기관(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등)은 개별 이전하고, 16개 기관(과학기술정책연구원·산업연구원 등)은 세종시에 둥지를 튼다. 수도권과 대전청사, 대덕연구단지가 있는 대전을 제외한 12개 광역시도에 골고루 분산, 배치됐다. 특히 클러스터 조성이 쉽게 비슷한 기능을 하는 곳을 하나로 묶어 같은 지역으로 이전시켰다.
각 혁신도시는 기능 중심으로 차별화된다. 예컨대 충북은 정보통신과 과학기술 분야로 특화된다. 또 강원은 광업진흥·건강생명·관광, 전북은 농업생명·국토개발관리·식품연구, 경북은 도로교통·농업기술혁신·식품연구에 방점이 찍힌다.
이밖에 경남은 중소기업진흥·주택건설, 부산은 해양수산·금융산업·영화진흥, 대구는 산업진흥·교육 및 학술진흥·가스산업, 울산은 에너지산업·산업안전·근로복지, 제주는 국제교류·교육연수에 중점을 둔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들 특화된 기능을 중심으로 한 산업발전에 힘을 기울일 방침이다.
혁신도시가 들어서면 인구도 덩달아 늘어 지자체 성장에 도움이 된다. 국토부는 각 혁신도시에 거주하는 이전 공공기관과 연관기업을 합쳐 약 2500~4000명, 유발인구는 1만5000~2만5000명 이 될 것으로 추정한다.
여기에 2단계(2015~2020년)로 추진하는 산학연 클러스터 조성이 잘 마무리되면 혁신도시에 유치한 민간기업과 대학, 연구소 종사자수가 약 4000~8000명, 유발인구는 2만5000~5만명 정도가 될 전망이다.
또 혁신도시에 들어설 공공기관들이 저마다 최신 건강, 문화, 복지시설을 갖추고 이 시설을 지역 주민에 개방할 예정이어서 지역 주민의 문화 및 여가, 복지 향상에도 효자 노릇을 할 전망이다.
방은주기자 ejb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