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차세대 한류 콘텐츠 웹툰, 그 특징은?

웹툰, 국내 인기 해외서도 이어갈까

Photo Image

출판만화나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우리나라는 아직 미국이나 일본 등 전통적 강국에 비해 역량이나 브랜드 파워에서 많이 뒤처져 있다. 많이 따라잡긴 했지만 역사나 전통, 시장 저변 등을 놓고 볼 때 아직 아쉬움이 많다.

반면 웹툰은 우리 창작자들이 변화하는 인터넷 환경에 맞춰 자생적으로 만들어낸 문화 콘텐츠라는 점이 특징이자 강점이다. 초고속 인터넷이 보급되고 포털과 수많은 인터넷 게시판이 생겨나면서 아마추어 작가들이 대거 온라인 공간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기존 만화 잡지나 단행본 출판사, 대본소 시스템이 역량 있는 소수 작가를 골라 데뷔시키는 방식이었다면 웹툰은 누구나 만화를 그려 독자를 직접 만날 수 있게 바꿔놓았다. `스노우캣`이나 `마린블루스` 등은 웹툰으로 이름을 알린 대표적 사례다. 포털이 사용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웹툰 서비스를 강화하고 UCC 만화 코너를 만들면서 작가들의 활동 공간도 넓어졌다.

하지만, 이 같은 방식이 제대로 훈련되지 않은 작가를 양산해내 전반적인 만화 품질을 떨어뜨린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실제로 웹툰 중에는 작화나 구성이 허술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광범위한 네티즌 층이 작가군에 포함됨으로써 웹툰의 소재와 스토리가 엄청나게 다양해진 것도 사실이다. 편의점 알바의 일상에서 뱀파이어들의 사랑과 모험에 이르기까지, 엽기적 유머에서 우주 판타지까지, 과거에 생각지 못 했던 다양한 소재들이 발굴되고 독자를 만났다.

수없이 쏟아지는 웹툰은 일상의 모든 것을 표현해 냈다. 조악한 그림체와 줄거리마저 하나의 문화 트렌드로 자라잡았다. 웹툰은 네티즌의 생활 감정에 완전히 녹아들었다.

웹툰 작가들은 디지털 환경에 맞는 새로운 표현 기법도 개척했다. 책장을 넘기는 일반 만화와는 달리 모니터 화면에 맞게 그림을 스크롤해 내리는 연출을 만든 것이 대표적이다. 스크롤을 길게 내리면서 긴장감을 강조하는 작법은 한국 웹툰에서 나왔다.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에 맞춰 화면 가득 컷을 보여주고 터치만으로 장면을 넘기는 스마트툰 같은 시도도 나왔다. 매주 일정한 날에 만화가 올라오는 연재 방식, 완결 만화를 다시 볼 때 과금하는 등의 부분유료화 모델 등 웹툰 운영 노하우도 축적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 보급 확대와 함께 가볍게 소비할 수 있는 이미지 기반 콘텐츠 수요가 늘면서 웹툰 수요는 더 커질 전망이다. 웹툰 창작과 유통, 서비스 운영에 가장 노하우가 많은 우리 창작자와 기업의 활약이 기대되는 이유다.


한세희기자 hah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