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통신비 산출 심각한 오류 "단말 대금 등 다수 항목을 서비스로 통합 처리"

통계청이 가계통신비 산출에서 오류를 범한 것으로 드러났다.

2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나성린 의원(새누리당)에 따르면 통계청은 이동통신요금과 유선통신비 등에서 여러 항목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지 않고 통합 처리하는 오류를 범했다.

통신사가 이동통신요금 고지서에서 통신서비스요금(이동전화요금), 부가사용금액(문화서비스-콘텐츠), 단말기 할부금(이동전화기기) 등으로 항목을 각각 분류했으나 통계청 조사원이 이를 `통신서비스-이동전화요금` 단일 항목으로 집계한다는 분석이다.

이 경우 단말기 할부 대금까지 통신서비스 요금으로 집계돼 전체 가계통신비가 상승하는 오류를 유발한다.

유선통신비에 포함돼 있는 인터넷, 전화, IPTV 요금도 `통신서비스-인터넷이용료` `통신서비스-일반전화요금` `문화서비스-콘텐츠` 등으로 각각 분류돼야 하지만 통합항목인 `통신서비스-인터넷이용료`로 처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정기적으로 집계하는 소비지출은 모두 392가지 항목으로 조사원은 소비지출 내역에 알맞은 항목을 직접 분류, 입력해야 한다.

나 의원은 “카드결제, 자동이체 등 국민의 소비패턴과 결제방식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데 통계청의 가계동향 조사방법은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통계청은 제대로 된 통계를 국민에게 제공하고 이를 반영한 올바른 정책이 입안될 수 있도록 가계동향 조사방법 개선과 철저한 조사원 교육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