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당분간 한국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원·달러 환율 급변동 억제에 정책 초점을 맞출 전망이다. 원화 강세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는 가운데 가파른 원화가치 절상은 큰 부담이므로 단기적 조치와 구조적·제도적 조치를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25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보다 0.8원 오른 달러당 1061.8원에 거래를 마쳤다. 전일 환율이 한때 달러당 1054.3원까지 떨어지며 연중 최저치(1054.5원)를 갈아치우자 외환당국이 곧바로 강도 높은 구두개입과 실개입에 나선 때문이다.
이처럼 정부와 한은은 최근 원·달러 환율의 일방적 하락 움직임이 다소 과도하다고 보고 시장 내 쏠림현상이 계속되면 이를 완화하려는 조처를 지속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도 25일 “외환시장에 구두개입을 한 것은 레벨 자체에 대한 판단보다는 변동성이 너무 크다고 봤기 때문”이라며 “유입되는 외자 중 단기 투기성 자금은 유심히 보겠다”고 밝혔다.
이같은 의지표명은 환율 급변동이 금융시장 뿐 아니라 환율하락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으로 우리 기업의 대외 경쟁력이 떨어지는 등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업종별로는 자동차업종의 걱정이 크다. 현대·기아자동차는 수출 비중이 75∼80%가량을 차지하고 있어 환율이 10원 하락하면 약 2000억원(현대차 1200억원, 기아차 800억원)의 매출액이 줄어드는 구조다.
전자업계는 그나마 환율 변동에 덜 민감하다. 해외에서 생산하는 비중이 높고 달러화 일변도가 아니라 엔화, 위안화, 유로화 등 결제통화가 다변화했기 때문이다. 반도체, 휴대폰 등은 수출경쟁력이 품질과 마케팅 요소가 크게 작용해 환율과 상관관계가 줄어들고 있다.
정부는 최근 환율 움직임이 수출에는 악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기업이 준비할 수 있는 여지를 주지 않고 급속히 떨어진다면 국가경제에 미치는 부담이 크고, 특히 환율 대응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환율 변동을 예의주시할 방침이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