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산학협력 출발은 대학

인재 관리에 있어 기업의 골치거리는 비용이다. 신입사원을 뽑았는데 다시 가르치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신입사원을 재교육하는 기간을 평균 2년, 비용은 1억원으로 잡는다. 한 중소기업 대표는 “신입사원이 배운 대학 교육은 전혀 가치가 없다”며 “처음부터 하나하나 다시 가르쳐야 하는 실정”이라고 불만을 토로한다.

Photo Image

대학도 딜레마다. 인재 양성 최고기관을 자처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특히 기업은 대학을 기능인 양성소 취급한다. 어느 순간 `취업을 위해 잠시 거쳐 가는 곳`으로 폄하한다. 대학에서 배운 게 전혀 기업 경영에 도움이 안 된다는 이유다. 대학은 `기업 인력 양성소가 아니라 지식을 함양시키는 교육기관`이라고 변명한다. 수십년 동안 풀리지 않는 문제다. 뾰족한 해법도 보이지 않는다.

정말 해법은 없을까. 뫼비우스의 띠 같은 난제를 푼 사례가 있다. 완벽한 해법은 아니지만 방향 정도는 제시한 사례다. 방위산업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한 중소기업은 지역 국립대 특정학과와 업무 협력을 체결했다. 기업에서는 학생에게 장학금을 준다. 학생은 광전자 분야 특별 교육 과정을 이수하고 졸업 후 해당 기업에 바로 취업할 수 있다. 커리큘럼은 기업과 함께 짜며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과 노하우 등을 가르친다. 대학과 기업이 협력해 풀리지 않는 간극을 최대한 줄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프로그램은 중도에 하차했다. 이를 제안했던 협회가 전국으로 시도하려 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 변화를 거부하는 보수적인 일부 대학 때문이었다. 교육 커리큘럼을 변경하는데 의외로 담당 교수가 반발하면서 복지부동으로 일관했다. 새 커리큘럼을 만드는 등 변화에 대한 거부감이 심했던 것이다.

산학 연계는 결국 기업과 학교가 같이 호흡해 주어야 한다. 더구나 기술 진화가 빠른 시장의 요구에 맞추기 위해서는 대학이 먼저 움직여야 한다. 현실을 외면하고 변화를 거부하는 대학의 운명은 오래갈 수 없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