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6일 “창조경제는 세계가 함께 성장할 혁신의 패러다임이며 세계 경제의 지속 성장을 위한 원천은 혁신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6박 8일 해외순방 일정 첫 방문지로 이날 오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인도네시아 발리를 찾은 박 대통령은 이날 국제컨벤션센터에 마련된 최고경영자회의(CEO 서밋) 세션에 참석, `혁신 비즈니스가 왜 중요한가?`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세계 경제의 저성장 기조와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한국경제도 지금 저성장과 청년실업의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며 “그래서 한국 정부는 혁신을 통한 새로운 경제부흥 전략으로 창조경제를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박 대통령은 창조경제의 특징에 대해 “기존 경제가 땅에서 광물자원을 캐내어 경제를 발전시켰다면 창조경제는 사람에게서 창의성을 끌어내 경제를 발전시켜 성장의 한계가 없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달성할 수 있다”며 “창의성이라는 자원은 자본이나 광물자원과 달리 모든 나라, 모든 경제주체에게 보편적으로 내재해있기 때문에 불균형 성장을 극복하는 원천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창조경제가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 모든 국가가 상호개방과 협력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혁신의 패러다임이라고 굳게 믿는다”며 “한국은 창조경제를 향한 노력을 계속하면서 우리 경험을 세계와 공유하고 특히 개도국의 창조경제 역량제고를 적극 지원해 세계경제가 `복원력과 성장`을 향해 나아가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창조경제의 실현을 위해서는 △규제의 장벽 △금융의 장벽 △교육의 장벽 △국경의 장벽을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세계경제의 낮은 성장률과 높은 실업, 불균형 성장의 원인과 관련, “세계 경제 정체의 근저에는 혁신의 정체가 깔려있다”며 “금융위기가 아닌 혁신위기가 세계경제 침체의 근본원인”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위기 이후 각국이 시행해온 경기부양책은 심폐소생술 같은 역할은 할 수 있지만 아픈 곳을 근본적으로 치유하고 활력을 되찾게 해주지는 못한다”며 “혁신만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끊임없이 창출하며 일자리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 첫날인 7일 오전(현지시간) 시 주석과 단독으로 만나 회담한다. 두 정상의 회담은 박 대통령의 지난 6월 말 중국 방문 이후 석 달여만이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