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산책로의 꽃과 나무를 휴대폰으로 스캔하기만 하면 다양한 정보가 쏟아진다. 조회한 식물 정보는 그 자리에서 바로 저장까지 할 수 있다.
산림청의 `산림 행정 3.0` 시책이 가져다 줄 생활 변화 중 일부다.
산림청은 오는 2017년까지 산림청이 보유한 공공 데이터 중 80%(75종)를 민간에 공개한다.
이미 올해부터 일부 데이터를 우선 개방하기 위한 준비 작업에 들어갔다. 숲 해설 정보, 숲 이야기 정보, 등산로 정보, 산림주제도 등 산림공간정보와 함께 국가 생물종 데이터 일부가 개방된다.
산림 공공데이터 개방이 본격화하면 산림데이터를 활용한 민간 서비스 시장이 크게 활성화될 전망이다.
과연 우리 생활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살펴보자.
먼저 산을 오르내릴 때 유용한 등산로 정보가 개방되면 다양한 민간 서비스 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 가령 등산로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나 등산 중 긴급 구조 요청 애플리케이션 제작 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숲 해설 정보와 결합시키면 단순한 등산로 안내를 넘어 숲에 담긴 전설 등 숲 이야기 정보와 함께 폭포, 문화재 등 주요 지점에 대한 정보도 함께 얻을 수 있게 된다. 등산로 정보를 활용한 관광상품 개발, 기상 정보와 결합한 등산로 안내 등 서비스도 머잖아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국가 생물종 정보는 산림청이 보유한 또 하나의 고부가가치 데이터다. 현재 우리나라 국가생물종 정보 중 약 587만건을 보유하고 있다. 올해부터 산림청이 국가 생물종 정보의 일부를 개방하면서 민간인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
산행하면서 궁금했던 꽃이나 나무 등 식물 정보를 그 자리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할 날도 얼마 남지 않았다. 생물종 정보를 활용한 캐릭터 콘텐츠 제작, 식물관리 프로그램, 관련 콘텐츠를 활용한 책자 제작과 식물 표본 사진을 활용한 디자인 제작까지 활용 가능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산림행정 3.0은 민간뿐 아니라 효과적인 정부 시책 수립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그간 부처 간 칸막이 등으로 단절됐던 기관 간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산림재해로부터 국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정책을 펼 수 있게 됐다.
정부는 최근 산림청의 산사태위험지도와 국토교통부의 도시계획정보시스템을 접목해 도시 방재 데이터베이스(DB) 구축에 나섰다. 도시 내 산사태에 대한 유용한 정보 DB를 구축해 재해 발생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효과적인 도시 방재계획을 수립하겠다는 의지다.
이 시스템이 구축되면 정부와 지자체, 일반인은 한 곳에서 필요한 재해 정보를 모두 수집할 수 있게 된다. 과거 각 기관의 홈페이지를 일일이 방문하지 않아도 원스톱으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산림청은 이와 함께 오는 2017년까지 산사태, 산불, 병해충과 같은 산림 재해를 통합적으로 구축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시스템은 3대 산림재해 통합 관리는 물론이고 재해 발생 시 체계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기상청의 기상정보, 한국전력의 고압선 정보, 소방방재청의 일반 재해 정보를 연계해 만들 예정이다.
이규태 기획조정관은 “공공데이터 개방 등 산림행정 3.0이 본격화하면 예측을 뛰어넘는 다양한 서비스와 신산업이 활성화되고 일자리 창출도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취재는 복권기금으로 조성된 녹색자금을 지원받았습니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