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링크사업의 과제

Photo Image

“기업과 협력하려면 일단 기업 관계자와 만나야 하잖아요? 식사도 같이 하고, 협력 워크숍도 열고, 산학협력을 위한 사전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니까요. 그런데 이렇게 쓸 수 있는 예산이 거의 없어요.”

대학과 기업 간 산학협력을 기획하는 링크사업 관계자를 만날 때 자주 듣는 얘기다. 바로 간접비 문제다. 링크사업 간접비는 인프라구축, 연구개발(R&D), 인력양성 등 링크사업 추진에 직접 투입하는 예산 외에 사업 추진 과정에서 부가적으로 소요되는 비용이다. 교육부와 연구재단은 이 간접비 비중을 전체 사업비의 5%로 정해 놨다.

1차년도 링크사업을 기준으로 대학별 링크사업 총 예산은 적게는 25억 원에서 많게는 45억 원 규모다. 간접비 규모는 대학마다 적게는 1억2500만 원에서 많게는 2억2500만 원선이다.

이 돈을 링크사업단이 다 쓸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산학협력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이 간접비의 절반은 대학 산학협력단에 분배된다. 결국 링크사업단이 1년에 쓸 수 있는 간접비 규모는 7000만원에서 1억2000만 원 선에 불과하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링크사업단 자체 내부 워크숍이나 직원 역량 강화를 위한 포상 한번 제대로 시행하기 어렵다.

링크사업은 기존 어떤 산학협력 사업보다 목표 범위가 넓다. 내용도 다양하다. 규모가 작은 사립대는 전 단과대와 학과가 참여한다. 링크사업단마다 간접비 증액이 절실하다고 주장하는 가장 큰 이유다.

“간접비 증액은 링크사업의 자율성과 직결된다. 링크사업단마다 남보다 잘할 수 있는 사업, 집중하고 싶은 분야에 재원과 활동 역량을 집중하고 싶어 한다. 지역 사립대는 링크사업에 사활을 걸 정도다. 대학 체제를 바꿔나가는 링크사업에서 중간에 도태되면 대학의 미래도 없다고 생각한다.”

지역의 한 링크사업단장 얘기다. 링크사업단 협의체인 전국링크사업협의회도 지난해 결성과 함께 최우선 추진과제로 내놓은 것이 사업의 자율성 확대다. 창조경제 실현을 앞당기기 위해서라도 2차년도 사업 중반에 이른 링크사업의 자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정부가 하루빨리 결정해야할 때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