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이 국가 핵심 정보를 노리는 수준까지 심각해지면서 아시아 각국 정부가 잇따라 사이버 방위 전략을 내놓고 있다. 20일 신화통신과 이코노믹타임스에 따르면 이달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중동 정부가 국가 차원 사이버 방위 조직을 새로 만들고 시스템을 강화한다.
일본 정부는 국방부 내 사이버 방위 군단(Cyber Defense Corps)을 조직하고 미국 국가안보국(NSA)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사이버시큐리티센터`를 세운다. 설립은 2016년 말까지 마친다. 일본 정부 고위 관계자들은 최근 국가정보보안센터(NISC)가 주최한 `사이버 시큐리티 2013` 행사에서 이 안에 동의하고 사이버 스파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체계와 법을 강화하기로 했다.
인도네시아 국방부는 `사이버 군(Cyber Army)`을 조직하기로 했다. 인도네시아의 주요 인터넷 포털과 정부 기관 웹사이트를 공격이 최근 3년간 폭증한 데 따른 조치다. 사이버 범죄에 대한 법 체계를 강화하고 온라인 정보의 불법 거래 범죄 벌금을 10억루피(약 195억원)로 올렸다.
육해공군에 각각 사이버 군을 추가 배치한다. 띠파툴 셈비링 인도네시아 통신정보부 장관은 “지난 3년 간 인도네시아 정부 부처와 기관은 3660만번의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국가 사이버 보안` 시스템도 만들어 정부 기관 웹사이트를 보호할 계획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국가 e보안 센터(National e-Security Center)`를 세운다. 사우디 정부 사이트에서 데이터를 빼가는 해커에 대항한다. 보안 시스템을 관리하면서 허가되지 않은 프로그램의 사용을 차단하는 소프트웨어로 각종 해킹을 막는다. 사우디아라비아 내무부 웹사이트가 수 백개 국가에서 해킹이 시도되고 있다고 밝혔다.
인도는 국가 차원의 `사이버 보안 프레임워크`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사이버 보안 정책과 국가사이버협력센터(NCCC)가 대규모 사이버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다.
앞서 미국 국방부는 올 초 대규모 사이버 전쟁 전담 조직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2015년까지 40개 사이버 팀을 조직해 정부와 민간을 상대로 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할 방침이다.
유효정기자 hjyo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