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기능안전 표준 `ISO 26262` 대응 체계 시급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자동차 기능안전 국제 표준인 ISO 26262를 2015년 양산 차량부터 본격적으로 적용할 예정인 가운데,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들의 대응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도요타, GM, BMW 등의 주요 완성차 업체들은 2015년 양산 차량의 부품 견적의뢰서(RFQ)에 ISO 26262 적용을 명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추세는 신규 개발 부품에 집중되고 있으며, 차세대 하이브리드카(HEV)와 전기차 부품의 경우 ISO 26262 준수 비중을 10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유승렬 자동차부품연구원 단장은 “독일, 미국, 일본 등 자동차 선진국을 중심으로 ISO 26262 표준화 및 도입 움직임이 활발하다”며 “국내의 경우 ISO 26262에 대한 조직적인 대응 협의체는 물론 기술 지원 전문기관이 없어 개별 기업들의 대응 수준이 미약하다”고 말했다.

자동차 부품의 기능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개발 표준인 ISO 26262는 국가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실제 독일의 대표 연구기관인 브라운호퍼는 자국 완성차 업체들과 협력해 전장 시스템 개발 공통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일본도 일본자동차연구소(JARI)를 ISO 26262 사무국으로 지정하고, 완성차와 부품업체들의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이를 통해 ISO 26262 표준에 대한 공통적인 해석과 개발 가이드라인도 완성했다.

우리나라도 중소·중견 자동차 부품업체들의 수출 확대를 위해 기능안전 가이드라인 마련 및 보급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자동차부품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공동으로 ISO 26262 업무를 협력키로 해 주목된다. 이들 3개 연구원은 앞으로 중소기업의 ISO 26262 개발 프로세스 도입 지원과 공통 기술 및 가이드라인 개발 등을 협력하기로 했다.

허경 자동차부품연구원장은 “6500여개에 달하는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자금 및 인력 부족 등의 문제로 ISO 26262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국내외 표준 기관과의 협력과 완성차 업체들의 참여를 유도해 ISO 26262 대응 프로세스를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양종석기자 jsya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