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쓰레기를 자체 생산해 도시텃밭에 순환 사용하는 장치가 국내에 선보였다.
환경 분야 연구개발업체 미래엔바이런은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호기성 미생물분해를 촉진하는 `퇴비 텀블러`를 개발, 보급에 나선다고 6일 밝혔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cms/uploadfiles/afieldfile/2013/06/05/437485_20130605144601_683_0001.jpg)
최근 도시농업은 음식물쓰레기를 퇴비화해 사용하는 자원순환형 농법이 대세다. 도시농업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퇴비화 교육이 전개되지만 퇴비화 장치가 없어 불편을 겪었다.
200리터 크기의 회전형 텀블러는 음식물쓰레기를 50kg~70kg을 톱밥 등과 혼합해 사용한다.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호기성미생물로 퇴비를 만든다. 때문에 편리성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 대량처리로 인한 연료소비와 음폐수 발생 등 환경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이수철 대표는 “순환형 도시농업은 자원순환사회 실현을 위한 대안 중 하나”라며 “텀블러가 음식물쓰레기 문제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 농업기술센터는 이달 중 서울지역 60개소 학교 급식소, 도시농장, 옥상텃밭 등에 퇴비화 텀블러를 보급할 예정이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