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산업은 융합형 창조경제의 견인차"

2000년대 중반 이후 TV, 스마트폰, 반도체를 비롯한 우리나라 전자산업이 빠른 추격자에서 시장 선도자로 거듭난 것처럼 자동차 산업도 융·복합을 통해 선도형 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박홍재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장은 30일 르네상스서울호텔에서 열린 `창조경제와 한국 자동차 산업의 진로` 세미나에서 “자동차 산업이 창조경제와 융·복합을 접목해 추격자에서 선도자로 거듭나야 할 시점”이라며 “이종 산업 간 협업과 연구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험 부담을 분산하고 해결할 수 있는 정책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 소장은 전자산업이 디지털 및 스마트 혁명에 효과적으로 대응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을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급속한 전장화로 대표되는 최근의 자동차 기술 혁신에 대응해 창조경제를 도입하는 것이 자동차 산업 체질을 혁신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것이다.

세미나에서는 자동차 산업이 창조경제에 가장 적합한 견인차라는 주장도 나왔다. 또 창조경제를 구현하기 위해 자동차와 연관 산업 간 융합뿐 아니라 기술과 인문사회의 `통섭`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유지수 국민대 총장은 세미나 기조발표에서 “자동차 산업은 파급효과와 핵심 역량, 경쟁사의 모방 난이도 등 제품과 서비스의 창조경제 적합도에서 스마트폰, 선박, 서비스 산업을 앞선다”며 “자동차가 창조경제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 총장은 이스라엘, 영국, 미국 등 각국의 고유 창조경제 모델을 비교하고, 우리나라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융합에서 창조경제를 성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인간과 사회 진화 속에서 제품이 같이 진화하는 창조경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자동차와 인문사회, 법, 경영 등의 산업과 학문 간 통섭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유 총장은 “최근 자동차 기술은 차량과 인프라, 차량과 차량, 차량과 인간의 상호작용 연구를 통해 융합과 통섭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며 “앞으로 자동차 개발에서 소프트웨어 역량이 하드웨어 역량보다 중요해져 심리학, 경역학, 법학 등 다양한 지식을 접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자동차산업학회와 산업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세미나에서는 기조발표에 이어 안병기 현대자동차 이사 등의 세션 발표 및 종합 토론이 이어졌다.

이종욱 한국자동차산업학회장은 “자동차가 창조경제를 선도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정책 당국과 민간 기업의 역할과 진로를 논의하는 의미있는 자리가 됐다”고 말했다.


양종석기자 jsya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