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가 국가 미래인터넷 연구개발(R&D) 실용성을 높인다. 개발과 사업화를 병행 추진해 2017년 이후 실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원천기술과 솔루션을 함께 확보할 계획이다.
임용재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미래인터넷 PM은 2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지능통신기업협회 간담회에서 “향후 미래인터넷 R&D는 과제별 사업협의회를 구성하는 등 결과물이 실험실에서 현장으로 확산될 수 있는 방안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밝혔다.
미래부는 우선 광전송 분야에서 R&D 결과물 상용화를 목표로 잡았다. 우리나라가 선도적 위치를 점한 수동형광네트워크(PON) 장비는 제품 고도화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기업 시장을 타깃으로 한 고 스펙 제품 상용화 단계까지 지원한다. 유럽연합(EU)과 공동연구를 진행해 글로벌 시장 진출 디딤돌을 놓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장기적으로는 가입자 단에 집중된 국내 네트워크 산업 경쟁력을 코어, 통합 시스템까지 발전시켜 차세대 광전송네트워크 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진입로를 넓힌다.
스마트 인터넷 과제에서는 △컴퓨터 내재형 스마트노드 △캐리어급 인프라를 위한 소프트웨어정의네트워크(SDN) △빅데이터 플랫폼 △테라급 라우터 상용화를 추진한다. 실제로 현장에서 요청하거나 쓰임새가 예측되는 기술에 투자를 집중한다.
국민 참여 방식의 미래인터넷 서비스 공모전도 진행할 계획이다. 시장 요구를 수집해 기술 수요를 도출하고 이를 R&D 로드맵에 적극 반영하겠다는 의지다.
이날 발표 중 가장 눈길을 끈 것은 통신사, 장비업체, 학계, 정부출연연구소가 폭 넓게 참여하는 사업협의회 구성이다.
R&D 과제별로 협의회를 구성해 기술이전과 결과물 상용화를 지원한다. 수요, 공급처가 한데 모인 협의회를 통해 개발 단계에서부터 시장 니즈를 반영해 R&D 실용성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미래부는 통신사가 각자 보유한 콘텐츠딜리버리네트워크 인프라를 연동하는 `CDNI` 협의회를 비롯해, 딥패킷인스팩션(DPI), WDM-PON, 융합서비스플랫폼 분야에서 협의회를 구성했거나 앞으로 할 계획이다.
임 PM은 “정보통신기술(ICT) 라이프사이클이 짧아져 상용화를 고려한 R&D의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초기부터 원천기술과 응용서비스를 연계해 비즈니스 모델을 검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