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서비스업체 `시니어 엔지니어`를 찾습니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연령별 과학기술인 현황

지식재산(IP)서비스 업계가 기술 조사·분석 업무를 맡을 수 있는 `고경력 과학자`를 찾고 있다. 민간과 공공기관 연구개발(R&D) 인력이 은퇴 후 자리를 찾지 못하지만 한편에서는 고급 전문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은퇴 과학자 공급과 수요를 연결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IP서비스 업체가 은퇴 R&D 인력(시니어)을 영입하려고 두 팔을 걷어 붙였다. 임동춘 한림아이피에스 대표는 “조사·분석 업무에 적당한 고급 전문인력으로 은퇴한 R&D 인력을 찾고 있지만 쉽게 구할 수 없는 실정”이라며 “IP서비스 업계에서 필요한 은퇴 R&D 인력과 연결해주는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른 IP서비스 업체 대표도 “은퇴 과학자가 쏟아져 나온다고 하는데 IP서비스 업계로 넘어오는 사례는 찾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IP서비스 업계에서 고경력 과학자, 은퇴 R&D 인력을 찾는 것은 업무 특성 때문이다. IP 서비스 업계에서 주로 담당하는 업무는 기술 조사·분석이다. 기술 이해와 외국어 능력, 컴퓨터 활용 능력이 필요하다. 업계 관계자는 “노동을 요하는 일이 아닌 만큼 은퇴 과학자도 충분히 조사·분석 업무를 맡을 수 있다”며 “오히려 R&D 경험과 노하우가 쌓인 은퇴과학자가 막 취업한 청년보다 고품질 정보를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은퇴과학자를 영입해 전문성을 활용한다면 IP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업계 의견이다.

지난달 방하남 고용노동부 장관이 IP서비스 업체 윕스를 방문했을 때도 고경력 과학자 활용 지원이 IP업계 대표 선결 과제로 꼽혔다. 이형칠 윕스 대표는 “IP서비스 업계가 대부분 중소기업인 만큼 전문 인력을 고용하기가 쉽지 않다”며 “은퇴한 고경력 과학자를 업계에서 채용할 수 있는 지원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교육과학기술부(현 미래창조과학부)는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에 따라 2015년까지 원로 과학자를 활용하기로 했다. 일부 예산을 투입해 고경력 과학자 활용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정작 필요한 IP서비스 업계 등 민간 수요는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50세~60세 사이 과학기술인은 연 평균 15.7%씩 증가하고 있다. 정년을 앞둔 석·박사급 인재가 은퇴 후 일자리를 고민하지만 재취업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IP서비스 업계가 해결 방안이 된다고 업계에서는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은퇴 과학자와 IP서비스 업계를 이어주는 연결고리가 전무한 것은 아니다. 임 대표도 최근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시니어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박사급 R&D 인력을 조사·분석 전문위원으로 영입했다. 서울시에서는 채용일부터 3개월간, 정규직 전환 시 9개월을 추가로 채용 지원금을 지원한다. 채용 인원 당 최대 100만원을 서울시에서 나머지 임금을 업체에서 지불하는 형태다. 고용노동부에서도 `워크넷`을 운영해 고경력 은퇴 R&D 인력의 재취업을 지원한다.

그러나 고경력 과학자 수요만큼 데이터베이스(DB)를 갖추지 못했다는 것이 지적이다. 한 IP 서비스업체 대표는 “서울시 DB와 고용노동부 워크넷 DB가 연동되지 않는 것도 문제”라며 “IP서비스 업계 등 수요층과 은퇴과학자(공급)를 적절하게 매칭시키는 시스템과 제도 구축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단위 : 명)

자료 : 국가과학기술위원회(현 미래창조과학부)

IP서비스업체 `시니어 엔지니어`를 찾습니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