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후 한국형 발사체, 2040년엔 우주 비행선 발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한국형 발사체(KSLV-II)`를 기존보다 2년 앞당긴 2019년, 우주 비행기를 2040년에 완전 국산화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지속적인 우주 개발을 위해 기술인력·시험시설·발사장·산업체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승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2일 국회에서 `2013 나로호 성공이후, 우주강국 도약을 위한 전략심포지엄`에서 우주기술 개발 장기비전인 `2040 우주비전`을 발표했다. 추진 목표로 `우주수송 시스템 확충` `지구궤도 우주영역 확장` `우주탐사시대 실현`이라는 추진 목표를 세웠다.

우주수송 시스템 확충을 위해 발사체 부문에서 독자적 우주 수송능력을 확보해 세계 위성 발사 시장에 진출한다.

김 원장은 “1단계로 75톤급 액체로켓엔진을 사용해 100㎏ 위성을 저궤도에 올리는 2단형 로켓 시험발사를 2016년으로 앞당길 것”이라며 “3단형 한국형 발사체를 2019년 발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전에 따르면 75톤급 엔진 성능을 개량하고 여러개 엔진 클러스터를 구축해 대형 추진체 개발로 2025년에는 8톤 지구저궤도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다. 20톤 이상 대형 화물 발사가 가능한 대형 발사체는 2030년, 가변 엔진을 장착해 공항 이착륙이 가능한 재사용 유인 우주비행기(SSTO)를 2040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김 원장은 “세계 우주 산업과 우주 시장이 자리 잡을 수 있는 진입 장벽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며 “우리나라 우주기술이 세계 우주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 정책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원근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우주개발 정책과 입법 방향`이란 주제 발표에서 우주산업 투자 철학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나로호 1·2차 실패 이후 부정적 여론에 따라 예산이 감축된 사례를 든 이 조사관은 “실패는 낭비가 아니라 투자”라고 밝혔다. 우주 강국으로 진입하기 위해 예산 지원과 인력 확충, 산업계 연계 방안을 제시했다. 이 조사관은 “2011년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미국 예산 200분의 1, 일본 17분의 1에 불과하다”며 “계획된 예산확보가 불안정하면 우주강국의 길은 지연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항우연에서 해마다 신규 인력 확충을 요구하지만 공공기관 선진화 지침에 막힌 상황도 문제다.

이어 “일률 지침 적용으로 경직돼 있는 제도를 개선해 기관 특성에 맞는 인력 증감 유연성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주 관련 기업의 성장 없이 우주 기술 국가 경쟁력에도 한계가 있다는 것이 이 조사관의 의견이다. 그는 “출연연 간, 산학연 간 협력과 우주 관련 전문기업이 육성될 수 있도록 정책적 토대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