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진흥 초안 내놔

세계 각국에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전략이 서서히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국가 인프라인 유·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성장하는 산업이기 때문에 정부가 주도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아직 서비스를 둘러싼 표준화와 법제도 정비 등은 요원하지만 생태계 기반 조성을 위해 노력 중이다. 향후 사물인터넷은 스마트 단말기, 통신 모듈과 센서 등의 기술 발달 및 보급 확대로 인해 전 산업 분야에 걸쳐 영향력이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20일 주요국 정부들은 사물인터넷을 국가경쟁력 확보 수단으로 인식하고 기술 개발 및 서비스 보급을 위한 정책 초안을 내놓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사물(Things)`이 만들어낸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는 환경을 의미한다. 인간과 통신장비가 연결되는 사물지능통신(M2M)보다는 더 큰 범주다.

미국은 아직 정책 초안 마련 단계다. 연방통신위원회(FCC)는 관련 규정을 만들기 위해 이달 초 칩 벤더, 모듈·단말업체, 통신업체 등과 한자리에 모여 공청회를 열었다. 국가정보위원회(NIC)는 올해 사물인터넷을 2025년까지 국가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혁신적인 파괴적 기술(Disruptive Civil Technology)` 중 하나로 선정한 상태다.

유럽연합(EU)은 미국보다 구체적이다. 올해 말까지 진행 중인 `제7차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사물인터넷 관련 연구를 하고 있다.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활용할 때 유발될 수 있는 보안이나 사생활 침해 등의 문제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14개 액션플랜을 제정할 예정이다. EU집행위는 3월부터 관련 기술 프레임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의견 수렴을 받고 있다.

중국은 인프라 구축에 집중한다. 2020년까지 `중장기 과학기술 발전계획 수립` 중 하나로 사물인터넷을 선정, 현재 센서 네트워크 연구센터를 구축한 데 이어 산업기금을 조성 중이다. 베이징에 관련 산업단지를 만들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인간 중심의 디지털 사회를 조성하기 위한 `아이재팬(i-japan) 2015`의 일환으로 사물인터넷을 선정하고 총무성은 신규 비즈니스와 접목할 수 있도록 상세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허정윤기자 jyhu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