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술을 적용한 1000㎿급 화력발전소가 건설된다.
한국중부발전은 14일 충남 보령시 주교면에서 1000㎿급 초초임계압 발전소 `신보령화력 1·2호기 보일러건물 철골설치` 행사를 개최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cms/uploadfiles/afieldfile/2013/03/14/403129_20130314151018_994_0001.jpg)
이날 철골조립용 앵커볼트 조임식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보일러 철골조립과 주기기 설치공사가 시작된다.
신보령화력 1·2호기(1000㎿×2기)는 총공사비 2조7907억원이 투입돼 오는 2016년 준공된다.
신보령화력은 최신 탈질설비, 질소산화물 저감설비, 배기가스 탈황설비, 종합폐수처리설비 등을 갖춰 오염물질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게 특징이다. 각 호기는 원자력발전소 1기와 맞먹는 규모로 총 77만가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용량이다. 이는 국가 전체 발전설비량의 2.4%에 달한다.
특히 신보령화력에 적용되는 터빈과 보일러 등 주기기는 국내기술로 개발됐다. 두산중공업은 국가개발사업으로 1000㎿급 주기기를 최근 개발, 완료했다.
중부발전 관계자는 “그동안 1000㎿급 발전소 주기기는 대부분 일본이나 독일제품을 적용했다”며 “국내기술로 개발된 1000㎿급 주기기가 적용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동시에 1000㎿급 원천기술을 확보, 해외화력발전시장 진출에도 청신호가 켜졌다”고 덧붙였다.
최평락 사장은 “신보령화력 1·2호기는 1400여개 중소기업과의 연계로 9000억원의 생산성 증대와 연인원 80만명의 고용창출이 이뤄 질 것”이라며 “사업 성공을 기반으로 해외발전시장의 수출전략상품으로 육성, 국가경제 성장에도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