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기 꿈꾸는 싸이월드 "더 이상 페이스북 따라가지 않겠다"

“더 이상 페이스북을 따라가지 않겠습니다. 모르는 사람의 일상까지 봐야하는 SNS의 피로도가 누적돼 가고 있습니다. 기존 SNS와 다르게 `라이프 로그`를 잘 쌓고 관리하는 방식으로 개편해 나갈 겁니다.”

Photo Image

싸이월드가 재기를 꿈꾼다.

싸이월드는 최근 메인 화면을 4년 만에 네이트와 분리했다. 메인은 이미지와 사람 중심으로 구성했다.

서비스 개편은 처음이 아니다. 싸이월드는 앱 3.0, 모아보기, 싸이랑 등 여러 서비스를 내놓고 지속적으로 개편해왔다. 하지만 `싸이메라`를 빼놓고 뚜렷한 성과가 없었다.

김영목 SK커뮤니케이션즈 서비스1본부장은 “계속 일등이었기 때문에 `방문자 수`만 믿고 혁신을 뒤쫓기 급급했다”며 “새로운 SNS를 따라가려다 보니 우리의 가치를 잊었던 것이 실패 원인이었다”며 반성했다.

그는 `싸이월드 본연의 가치 회복`을 강조했다. 김 본부장은 “이용자가 왜 미니홈피를 사용했는지 돌아보고 본연의 가치를 회복하는 게 중요하다”며 “미니홈피는 나만의 `홈`이라는 개념 때문에 이용자가 데이터를 더 잘 쌓는다”고 말했다. 또 “사진을 빠르게 소비하고 댓글로 반응하는 일에 연연하기보다는 개인의 라이프 로그를 잘 관리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며 “빅데이터로 새로운 사업을 펼쳐나가겠다”고 덧붙였다.

2600만명이 넘는 싸이월드 회원이 올린 이미지 수는 지금까지 총 110억장이 넘는다. 다이어리, 게시글 등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이 데이터를 활용하겠다는 전략이다. 지난해 도입한 `투데이 히스토리`가 시작이다. 과거의 내가 `오늘`과 같은 날짜에 무엇을 했는지 사진이나 다이어리 기록을 보여준다. 서비스 도입 이후 사용자 방문 횟수는 일주일에 평균 3일에서 4~5일로 늘었다.

싸이월드는 `동영상 슬라이드`도 준비 중이다. 20대에 미니홈피를 사용하다가 현재 30대가 된 이용자는 자신의 미니홈피에서 20대 시절의 사진으로 동영상 바이오그래피(일대기)를 만들 수 있다. 20대의 사진과 현재의 사진으로 과거와 현재를 담는다.

김 본부장은 “기존 SNS가 매일 올라오는 개인의 기록을 어떻게 보관하고 관리할지 고민하고 있다”며 “우리는 기존에 가진 빅데이터로 경쟁자보다 시장을 선점하고 장악하겠다”고 말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