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심해지는 남북 경제권 간 경제격차 문제와 산업단지 노후화 및 공동화 현상을 막기 위해선 산업단지의 재창조 전략이 서둘러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산업클러스터학회(회장 이의영 군산대 교수)가 한국산업단지공단·산업연구원과 지난달 30일 서울 올림픽파크텔에서 공동 주최한 추계학술대회에서 홍철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 위원장은 “수도권·강원권·충청권을 아우르는 북부 경제권과 호남권·대경권을 아우르는 남부 경제권 간 경제격차 현상이 평창올림픽 개최, 정부기관의 세종시 이전 등으로 더욱 심해질 것”이라며 “남북 경제격차 현상 해소를 위해 산업단지 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고민과 개선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홍 위원장은 “남부 경제권역 내 경쟁력 있는 업체들이 사실상 울산·창원·구미·포항 등 산업도시나 국가산업단지에 집중적으로 포진해 있다”며 “위기에 처한 산업단지 정책을 어떻게 추진하느냐에 따라 남북 경제격차 문제가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울산 전지산업클러스터와 같은 자생적인 클러스터를 벤치마킹하고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중소기업 지원기관 통합도 신중하게 검토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행사에서 홍진기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과거 전통 제조업 중심 산업단지 공급방식은 21세기 지식기반산업의 입지조건을 충족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며 “신규 산업단지 조성보다는 첨단 신산업 중심으로 이미 집적화되어 있는 도시 내 특정지역을 `기업유치촉진지구`로 지정하는 방식을 고려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또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융합에 대응한 입지 공급을 확대하고 QWL밸리사업 확대, 산업단지 간 연계프로그램 활성화, 산업단지 중심 개방형 혁신체계 등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정인화 산업단지공단 투자창업실장은 “제조업이 일자리 창출과 경제성장의 주역”이라며 “생산기능 위주 산업단지를 생산·연구개발·비즈니스생태계·문화·복지 기능이 복합된 공간으로 재창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산업집적지 중심 광역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주력 제조업의 저투입, 고생산성 산업구조로의 전환 등 저탄소 녹색성장 지원순환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길수기자 ksj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