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적 강제 시급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방송사별 DTV 송신소·중계소 현황아날로그 방송 종료가 석 달 앞으로 다가왔지만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방송 직접 수신율이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말 디지털 전환 완료 시 지상파 직접 수신 가구 중 일부가 `TV 블랙아웃` 사태를 맞을 것으로 우려된다. 전문가들은 지상파 방송사가 중계시설 투자를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26일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디지털방송 커버리지율(2012년 8월말 기준)은 KBS1 93.74%, KBS2 91.80%, EBS 90.21%, MBC 89.40%, 민방 84.90%로 나타났다. 커버리지율을 산술적으로 계산하면 올해 말 약 108만 가구가 TV를 시청하지 못하게 된다.
지상파 방송 직접수신이 어려워 케이블TV나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을 시청하는 왜곡된 시청형태도 지속되고 있다. 실제로 올해 초 방통위가 조사한 지상파 직접수신가구 비율은 11.5%에 불과했다. 10가구 중 9가구는 유료방송을 보는 셈이다.
지상파 디지털방송 커버리지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지상파 방송사가 송신소나 중계소에 적극 투자해야 한다. 하지만 비용 문제 등으로 지상파 방송사들이 적극적인 투자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특히 지역민방은 1개 도권역에 송신소가 한자릿수인 곳이 대다수다. 전북 지역은 지역민방 송신소와 중계소가 각각 1곳 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직접 수신율을 높여야 한다는 지상파 방송사의 책무를 담은 규정이 없기 때문에 이 같은 상황이 됐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방송법 44조 2항은 `한국방송공사는 국민이 지역과 주변 여건에 관계없이 양질의 방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만 명시돼 있다.
강혜란 여성민우회 위원은 “방송법에 명시된 노력이라는 단어를 없애야 지상파가 중계소와 송신소를 짓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유료방송과 지상파 직접수신이라는 선택권 확대를 위해서도 지상파들이 직접 수신을 위해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교수도 “몇 년 전 국감자료에 의하면 KBS는 수신료의 2%만 난시청 해소에 쓴것으로 알고 있다”며 “지상파들이 송신소와 중계소를 많이 설치해야 수신환경이 개선돼 직접 수신율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5000억원씩 받는 수신료의 10% 이상만 써도 디지털 전환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방통위 관계자는 “지역민방이 중계소를 만드는데 소극적인 것은 사실이지만 중계소를 짓고 유지하는 비용이 많이 드는데 비해 지역민방 재원이 많지 않아 현실적으로 대안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방송사 재허가 조건에 아날로그 송신소, 중계소를 디지털로 전환하는 것을 넣었다”며 “올해 말까지 조사하겠다”고 설명했다.
방송사별 DTV 송신소·중게소 현황
자료:방통위. 2012년 9월 25일 허가 기준. 방송사별 중복 제외.
전지연기자 now2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