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한 MVNO 사업 전망에 사업자들 신규 진입 꺼려

이동통신재판매(MVNO) 사업을 의욕적으로 준비하던 A그룹은 최근 사업 축소를 검토 중이다. MVNO 시장환경과 매출, 이익전망 등을 고려했을 때 쉽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지난해 MVNO 사업을 신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고 선언했던 B그룹도 아직 MVNO 사업 계획을 전혀 내놓지 않고 있다. 업계는 사실상 포기 상태로 보고 있다.

24일 MVNO 업계에 따르면 MVNO시장 성장이 생각보다 더디면서 사업진출을 준비하던 업체들이 포기 또는 축소를 검토하고 있다.

MVNO가 도입된지 1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전체 가입자가 100만명에도 미치지 못하면서 사업 전망이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CJ헬로비전이 가입자 10만명을 넘기는 등 나름의 성과를 내고 있지만, 대기업인 CJ를 제외하면 대부분 고전하고 있다. 유통 대기업인 이마트와 홈플러스가 진출을 선언하면서 틈새시장으로 평가되던 MVNO 시장이 대기업 중심으로 재편될 조짐을 보이는 것도 위협요인이다.

이에 따라 방송통신위원회에 별정통신사업자 4호로 등록하고 MVNO 진출을 검토했던 곳들 중 상당수가 사업 진행을 하지 않고 있다. 또 지난해 7월 MVNO 제도 도입과 함께 사업을 시작한 곳을 제외하고, 올해 새롭게 시장에 뛰어든 곳도 찾기 어렵다.


앞서 언급한 A그룹도 지난 상반기 이동통신사(MNO)와 협력계약을 맺고 MVNO사업 담당 직원을 모집하는 등 의욕적인 행보를 펼쳤으나 시장 상황을 좀 더 지켜보기로 했다.

당초 계획과 달리 일반 소비자 대상의 사업은 하지 않고 사물통신(M2M) 등 부분적인 사업만 할 가능성이 높다. MVNO 업무를 담당하던 인력도 일부는 퇴사하고 일부는 다른 부서로 배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A그룹 관계자는 “MVNO 시장 확대가 생각보다 느리고, 유통 대기업 등이 진출 준비를 하면서 전체 시장 환경이 변하고 있다”면서 “시장 상황을 좀 더 살펴본 뒤 사업방향과 시기 등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MVNO 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해까지 MVNO 사업은 긍정적 전망 일색이었고 MVNO 진출이 주가 상승 효과도 가져왔다”면서 “하지만 실제 사업환경이 달라지면서 많은 기업들이 사업 진출을 꺼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통신사 자회사 진입을 막던 제도가 풀리면서 들어온 SK텔링크와 유통 대기업을 제외하면 올해 규모 있는 신규 MVNO 사업자가 없는 것이 이같은 상황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