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명암 파헤친다

정부가 세계적 관심으로 모으는 `빅데이터(Big data)`의 명(明)과 암(暗)에 대한 심층진단에 나섰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국과위)는 2012년도 기술영향평가 대상기술로 `빅데이터의 분석기술과 활용`을 선정했다고 24일 발표했다. 기술영향평가는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라 국과위가 관계부처와 협의해 기술·사회적으로 영향력이 큰 분야를 선정, 심층 분석·검토하는 작업이다. 지금까지 나노, 줄기세포, 기후변화 등 9개 분야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 바 있다.

국과위는 “빅데이터를 활용할 경우 실시간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공공부문 의사결정의 자동화 등 다양한 가치 창출이 기대되는 반면에 프라이버시 침해, 사이버 범죄 증가, 데이터 독점 문제와 소유권 분쟁 등 부작용도 함께 존재한다”며 “해외기술에 종속되는 사태를 막고 부작용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기술 영향평가에는 해당 기술 전문가뿐 아니라 사회과학분야, 시민단체 관계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영향평가위원회를 운영한다. 또 빅데이터 등 과학기술에 대해 관심 있는 일반시민 15명으로 구성된 시민포럼을 조직해 빅데이터에 대한 교육과 토론회를 5회가량 추진할 계획이다. 누구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온라인 참여 창구가 운영된다. 기술영향평가 결과는 2013년 2월에 발표될 예정이며, 이에 대한 정책 활용 내역은 관련 부처별로 차년도에 국과위에 보고된다.

장진규 국과위 과학기술정책국장은 “산업·기술적 파급력뿐만 아니라 국민의 미래 삶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을 다룸으로써 국가과학기술을 다각적으로 분석해보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술영향평가주요결과

자료:국가과학기술위원회

빅데이터 명암 파헤친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