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차 융합발전 기본계획 뭘 담았나

`산업强국, 생활富국, 안심大국.`

정부가 밝힌 산업융합이 가져올 우리나라의 미래상이다. 제1차 융합발전 기본계획에는 메가트렌드인 산업융합이 가져올 미래 모습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비전과 정책을 함께 담았다. 그동안 수차례 제시한 정책을 `백화점식`으로 나열했다는 비판도 있지만 처음으로 관련부처가 함께 전략을 마련한데 의의가 있다는 정부 설명이다.

◇핵심 융합화 개발=산업융합전략은 전반적 산업융합 수준이 미흡하고 융합 확산을 위한 정부 거버넌스 체계 등 인프라도 취약하다는 판단 아래 마련됐다.

정부는 핵심 융합기술 개발로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지능형 로봇, 바이오 신약 등 미래 유망분야 핵심기술을 조기 확보키로 했다. 지능형 자동차, 조선·해양 플랜트, 스마트항공, 국방 등 4대 주력분야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SW와 결합한 미래 성장동력형 100대 핵심부품 개발도 추진한다.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새 트렌드를 반영한 `소프트웨어 융합형` 핵심 기술 및 초연결 단말 핵심부품 등의 글로벌 경쟁력도 강화한다.

사물지능통신(M2M), 유비쿼터스센서네트워크(USN) 등 차세대 지능형 네트워크 기반을 확충, 다양한 소비자 욕구를 충족하는 인간 지향적 스마트 융합서비스를 확산한다. 또 IT·BT·로봇기술을 활용, 스마트 의료기기 기술역량을 강화하고 원격의료 및 건강·복지서비스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맞춤형 치료시대를 위해 BIT융합 `대용량 유전체 정보기반`을 구축하고 개인 맞춤형 진단·치료기술 등을 개발한다.

◇융합 인프라 조성=국가 융합거버넌스 확립을 위해 `산업융합발전위원회`를 구성, 총괄·조정하고 지원체계를 강화한다. 위원회 산하에 전문위원회를 둬 지원 기능 강화와 상시적 지원체제 구축 등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또 옴부즈만을 활용해 칸막이형 규제 및 관행을 적극 찾아내고 `부처융합전담관-옴부즈만`이 연동되는 상시적 법·제도 정비체계를 구축한다. 이종분야 융합 신제품과 서비스의 `적합성 인증제`도 확대시행한다.

융합교육 촉진을 위해 기존 학과·전공 중심에서 인문-공학간 칸막이를 허무는 `융합형 교육시스템`으로 개선한다. 융합형 R&BD 촉진을 위해 과제 기획단계부터 인문학, 디자인 등 다양한 융합적 관점이 반영될 수 있도록 국가R&BD 기획·관리체계도 재구축할 계획이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글로벌 경쟁우위 요인으로 융합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며 “각 부처가 협력 조정해 융합시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 기반을 구축해달라”고 관련 부처에 주문했다.


권상희·이형수기자 shkw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