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암을 막는 유전자 기능을 억제하는 효소를 발견해 암을 치료하고 제어하는 데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한정환 성균관대 교수 연구팀은 지금까지 노화 단백질을 회복하는 효소(핌트)가 암을 유발하거나 촉진시킨다는 사실을 구명했다고 10일 밝혔다. 핌트가 암 억제 유전자(p53)의 활동을 막아 암 발생 확률을 높인다는 설명이다.
p53 유전자는 세포의 이상 증식을 억제하고 암세포를 죽게 해 항암 유전자라 불린다. 지금까지 가장 강력한 암 억제 유전자로 알려져 p53을 통해 암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국내외 연구자들이 부단히 노력했다. 하지만 임상실험에서 기대와 달리 효과가 거의 없고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는 p53을 조절하는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 교수팀은 핌트가 p53 단백질 변형시키고 이를 통해 기능을 억제해 암을 일으키는 효소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한 교수팀은 핌트 활동으로 증가한 여러 종류의 악성 암세포에서 p53이 감소된 것을 확인했다. 핌트가 지나치게 나타난 암 환자가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생존율이 20%나 낮았다. 특히 이번 연구결과는 인간 암세포에만 특이하게 적용되는 원리란 사실도 확인했다.
한 교수팀의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지 6월 27일자에 게재됐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