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로봇랜드 자본금 160억으로 확충

인천로봇랜드가 51억원 유상증자에 성공, 자본금을 160억원으로 늘렸다.

정부 조성실행 계획 승인에 필요한 사업시행자 중복 문제도 민간 당사자와 합의(중복 해지)를 보면서 해결 실마리를 찾았다. 이에 따라 인천시와 인천로봇랜드는 오는 7월 정부에 조성실행계획을 제출하고 9월 승인을 얻어 연내 착공할 계획이다.

하지만 인천시가 재정난을 겪고 있어 민간 테마파크 완공 등 사업 성공까지 가야할 길은 여전히 멀고 불투명하다.

특수목적법인(SPC) 인천로봇랜드(대표 전재홍)는 지역 건설사 두손건설이 새로 주주로 참여한 가운데 최근 51억6000여만원 유상증자를 마쳤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유상증자에는 공공출자자 부문 최대 주주 인천정보산업진흥원이 25억8000만원, 건설출자자 부문 최대주주 한양이 11억1000만원을 각각 내놓았다. 하지만 전략출자자 LG CNS와 LG전자, 포스코ICT 등은 참여하지 않았다. 반면에 지역건설사 두손건설이 14억7000만원을 투자해 지분 9.19%를 확보, 새로 주주에 합류했다.

유상증자로 인천로봇랜드 자본금은 기존 108억원에서 160억원으로 늘었다. 늘어난 자금은 미지급 용역비와 인건비 등으로 사용한다.


지난해 말부터 유상증자를 추진한 인천로봇랜드는 당초 100억원 정도를 계획했지만 절반 밖에 이루지 못했다. 이번 달성하지 못한 40~50억원 유상증자분은 하반기에 다시 추진한다.

인천로봇랜드 발목을 잡아왔던 사업시행자 중복 문제는 이곳에 테마형 레저스포츠단지 조성을 계획했던 아시아레포파크와 지난달 초 30억원에 비용정산 합의를 보면서 해결을 눈앞에 뒀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아시아레포파크와 맺은 사업협약을 해지하면 사업자 중복 문제는 완전히 해소된다.

박영규 인천로봇랜드 경영관리팀장은 “(사업시행자 중복 문제는) 거의 다 해결됐고 LH 내부 절차만 남았다”고 밝혔다.

인천로봇랜드는 사업 정상화를 위해 하반기부터 투자 유치에 적극 나선다. 앞서 지난 3월 미국 및 아시아 담당 투자상담역 2명을 위촉한 바 있다.

인천로봇랜드는 청라국제도시 76만여㎡에 체험관 등 공공 로봇시설과 로봇테마파크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방은주기자 ejba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