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방재청이 인공위성을 재난안전통신 백업망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지진이나 해일 등으로 지상에 구축된 재난안전통신망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비상사태에 대비한 조치다.
행정안전부가 만든 통합 재난망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앞두고 통합재난망을 보조할 공공기관의 재난망 밑그림도 속속 윤곽을 드러냈다.
22일 관계기관에 따르면 소방방재청은 이달 `비상재난통신망의 효율적 이용 및 천리안 통신위성 활용방안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위성용 고주파 대역(Ka밴드)을 비상 재난망에 추가 활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는 연구다.
위성통신은 영상 등 빅 데이터가 오가는 메인 재난망으로 쓰기는 어렵지만 재난망이 완전 붕괴 됐을 때에도 간단한 음성통신이 가능하다. 백업 인프라로 안성맞춤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미 궤도에 오른 천리안 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비용도 크게 들지 않는다.
행안부가 추진 중인 재난망 사업과 별도로 진행하는 사업이다. 다만, 완성 단계에서 운영체계를 합쳐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행안부 관계자는 “재난망 특성상 통합망을 구성하더라도 백업 인프라는 필수”라며 “위성통신은 유력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이달 초 `와이브로+상용망` `테트라+상용망`으로 최종 후보를 정리하고 321개 필수 기관에 이를 적용한다. 오는 7월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시작으로 연말께 최종 방향을 확정할 계획이다.
소방방재청 위성 백업망 외에도 경찰청, 지방자치단체 등의 재난망 구축도 급물살을 탔다.
경찰청은 향후 통합망과 연계를 전제로 올해 12월까지 지방청별로 운영 중인 신고 시스템을 테트라 기반 전국 시스템으로 구축하는 `112 통합구축 프로젝트`를 완료한다.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아이덴 기반 재난망 검토를 시작했다. 2차 검증으로 해안, 지하에 상용망 활용이 사실상 확정되며 인천, 경남, 충남, 전남 등 해양 구조 대응이 필요한 지자체가 백업망 등 다양한 각도에서 활용도를 점검한다.
향후 행안부 통합망과 이들 공공기관 재난망 간 얼마나 연계가 잘 되는지가 예비타당성 조사 점수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정윤한 행안부 재난망 구축추진단장은 “생존성을 대전제로 통합망 사업과 각 기관이 필요한 시스템이 보조를 맞춰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재난망 마무리 단계에서 이들을 한눈에 관리할 수 있는 종합 운영체계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