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O BIZ+]행안부 · 방통위, 손 잡고 스마트워크 확산 나섰다

이달 8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스마트워크 포럼`에서는 업계에 뜻깊은 내용이 발표됐다. 업무 중복 지적이 끊이지 않던 행정안전부와 방송통신위원회 두 부처가 확연히 구분되는 스마트워크 정책을 내놓았다. 지속적인 협의로 중복 문제를 해결하고 시너지 창출 방안을 찾은 것이다. 서보람 행안부 미래정보화과장은 “영역이 다소 모호한 부분이 있었지만 10차례 넘게 회의를 거쳐 중복 문제를 모두 해소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교류로 스마트워크 확산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행안부와 방통위는 각각 공공과 민간 부문에서 스마트워크 확산에 나선다.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진두지휘하고 있는 두 부처의 올해 스마트워크 정책을 정리한다.


◇행안부-정부가 자발적으로 스마트워크에 나선다=행안부는 올해 공무원 스마트워크센터 이용률 목표를 65%로 잡았다. 이를 채우기 위해서는 월 3130명이 센터에 근무해야 한다. 해법으로 △출장형 스마트워크센터 신규 구축 및 센터운영 안정화 △자유로운 스마트워크센터 이용 분위기 조성 및 활성화 △스마트워크 문화 조기정착 등을 정했다.

올해 세종시에 들어서는 출장형 스마트워크센터는 최적모델로 개발한다. 출장 목적과 형태를 고려하고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찾는다. 가변형 회의실, 휴식공간 능동적 배치, 방음 및 보안 강화 요구를 반영한다. 1년여간 센터 운영 과정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이다. 센터는 오는 9월 국무총리실 세종시 이전에 맞춰 오픈 예정이다. 이미 660㎡ 공간을 확보했다. 올해 완공은 힘들지만 공무원의 잦은 국회 출장 수요를 반영, 내년에는 국회에 출장형 스마트워크센터를 세운다. 국회의원회관이 리모델링되는 내년 약 990㎡ 규모로 들어선다.

정부는 스마트워크센터가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전문업체에 위탁하고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을 관리주체로 지정했다.

이용활성화 지침도 마련한다. 상반기까지 중앙행정기관·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각종 의견과 자료를 수집해 정한다. 기관별 스마트워크센터 근무자 모집 시 우선선발 기준과 근무 기준을 명시한다. 근무 기준으로는 스마트워크센터에서 근무 시 `부서장과 영상통화 보고 의무화` 등을 포함할 예정이다. 정부 부처 간부급 공무원 체험근무, 이용실적에 따른 인센티브 도입과 정부 업무평가 반영도 추진한다. 스마트워크센터별 입지여건 등 특화 요소도 개발한다. 예컨대 수원센터 및 잠실센터는 어린이 도서관 옆에 위치해 유년기 자녀를 둔 공무원 자녀 돌보기 요구에 적합하다는 평가다. 스마트워크센터 이용자 만족도 조사로 불편사항을 지속적으로 개선한다. 지난해 센터 이용만족도는 75.2점. 행안부는 올해 80점으로 목표를 높여 잡았다. 스마트워크센터 접근 편의성 방안도 찾는다. 센터 이용 공무원 주차료 면제 방안 등이 거론된다.

커다란 숙제인 인식 개선 활동도 펼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 계류 중인 스마트워크촉진법 제정을 추진한다. 18대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을 경우 19대 국회에서 정부입법으로 진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공무원 교육훈련기관에서는 스마트워크 교육과정도 개발한다. `스마트워크 이해` 시간을 포함해 공무원이 자연스럽게 스마트워크센터에 관심을 갖도록 한다. 중앙공무원교육원 사이버 교육과정에 `스마트워크 제도` 과정도 개설해 운영한다.

민간 및 국제협력에도 나선다. 민간과는 정책간담회를 분기에 한 번 개최하고 반기에 한 차례 추진협의회를 연다. 민간 스마트워크 실태를 참고하는 공동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글로벌 스마트워크 선도를 위한 스마트워크 선진국가와 공동으로 `스마트워크 글로벌 콘퍼런스` 개최를 추진하고 있다. 서보람 행안부 미래정보화과장은 “올해부터 2014년까지 16개 중앙부처가 세종시로 이전한다”며 “앞으로 스마트워크 수요가 대폭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표] 스마트워크센터 현황

*자료:행정안전부

◇방통위-취약계층 스마트워크 정부가 챙긴다=방통위는 올해 사회취약계층과 중소기업의 성공적 스마트워크 지원에 나선다. 계층과 기업규모와 상관없이 스마트워크를 누구나 누릴 수 있게 돕겠다는 취지로 `빈틈없이 따뜻한 스마트워크 확산`을 선언했다.

보급형 및 복지형 스마트워크 서비스 모델을 개발한다. 보급형은 중소기업 및 1인 창조기업을 대상으로 모바일오피스·통합커뮤니케이션(UC)·원격협업지원 솔루션 등을 개발하고 민간 임대형 스마트워크센터 구축을 지원한다. 복지형 모델은 근로취약계층 근무여건을 개선하고 소상공인 비즈니스 프로세스 개선을 목표로 한다. 이달 수요조사에 들어가 이르면 4월 사업자를 선정하고 사업을 진행한다. 복지형 모델 예로 육아 연계형, 스마트마켓서비스, 소상공인특허 모바일서비스 세 가지를 꼽았다. 스마트마켓서비스는 유무선 전화와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앱), 인터넷 영상전화 등 다매체 기반의 주문 접수 및 배송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근로취약계층에 대해 스마트워크 취업을 돕는다. 취업지원 인큐베이터를 구축해 직무개발 및 교육·컨설팅, 취업 알선을 지원한다. 대·중소기업 격차 해소를 위한 중소기업 스마트워크 도입 촉진에도 나선다. 맞춤형 컨설팅과 스마트워크지수 개발이 대표적이다. 컨설팅 서비스는 온라인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업무적합도·적용기술·소요비용 등 스마트워크 도입 및 운용 방안을 제공한다. 스마트워크지수는 기업이 스스로 성과 및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시간 및 비용 절감, 직원 만족도, 고객대응 시간 등을 지표화한다. 중소기업이 스마트워크를 체험할 수 있도록 `(I/O) 스마트워크협의회`와 공동으로 시연회도 개최한다.

연구개발사업도 진행한다.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실감형 영상회의(텔레프레즌스) 서비스를 업계에서 적은 비용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과 표준화를 추진한다. 인터넷 업무환경에서는 누구나 텔레프레즌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술인 `네트워크 기반 분산형 텔레프레즌스 플랫폼` 개발도 추진한다. 올해 테스트베드환경 시제품을 개발하고 내년 상용 환경 요소기술을 만들어 2014년 시제품을 내놓는다는 목표다. 보급형 텔레프레즌스 상호연동 표준개발과 서비스 간 호환성 확보에도 나선다.

장애인 스마트워크 접근성도 챙긴다. 스마트폰·스마트패드 등 스마트기기와 응용서비스에 장애인 접근성을 보장하는 법적 근거도 마련한다. 이는 현행 장애인차별금지법에 웹사이트 준수 의무만을 규정하고 있고 국가정보화기본법 및 관련 지침은 실효성과 구체성 확보가 미흡해서다. 미국에서는 `21세기 통신 및 비디오 접근성 법`을 통해 내년 10월부터 접근성을 확보하지 않은 스마트폰은 출시하지 못하도록 했다.

방통위는 스마트워크 서비스 및 스마트워크센터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 가이드라인을 연내 제정한다. 제도개선과 장애인 편의성 제고를 위한 기술개발과제로 스마트키보드 개발을 추진한다. 장애인 신체 특성에 최적화한 사용자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도록 설계한다. 올해 시제품을 공개할 계획이다.

[표]올해 스마트워크 추진과제 및 기대효과

※자료:방송통신위원회

[CIO BIZ+]행안부 · 방통위, 손 잡고 스마트워크 확산 나섰다
[CIO BIZ+]행안부 · 방통위, 손 잡고 스마트워크 확산 나섰다

김준배기자 jo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