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3사가 투자 효율화를 위해 추진 중인 와이파이 공동 구축 사업이 제속도를 못내고 있다. 올 상반기까지 1000개소를 구축한다는 목표지만 사업자와 방통위의 소극적 대응으로 200여개소에 머물고 있다.
KT·SK텔레콤·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는 지난해 7월 방통위 중재 속에 `통신3사 간 와이파이 공동 구축·활용에 관한 합의서`를 맺었다.
지난해 3G망 보완재로서 와이파이가 급속히 확산됐지만 사업자 간 중복 구축, 전파혼신, 비효율적인 운용 등 문제점이 대두된 데 따른 것이다.
당시 방통위와 통신 3사는 3개월여에 걸친 사전협의를 통해 공동 구축에 합의, 올 상반기까지 1년간 공공 장소에 1000개 와이파이존을 공동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6개월여가 지난 현재 공동 구축한 와이파이존은 254개소다. 그나마 서비스가 실제로 운영되는 와이파이존은 절반인 124곳에 불과하다.
공동 와이파이존 확장 속도가 더딘 것은 통신 3사의 실무 작업이 빠르게 뒤따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공동 구축을 위해서는 구축 방식, 장소 선정 등 실무적으로 해결해야 할 사안이 많지만 회사별로 이해관계가 엇갈리다보니 실제 구축에 나서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 옥내 설치 시에는 건물주와 공간 확보, 전력비용 등의 문제도 발생했다.
통신업체 관계자는 “통신사업자들이 공동 구축이라는 큰 원칙에는 합의했지만 실제 구축 현장에서 의견을 조율하기는 쉽지 않다”고 전했다.
방통위는 공동 구축 작업이 지연되자 대책 마련에 나섰다. 방통위는 하나의 와이파이 액세스포인트(AP)로 3사 가입자 인증과정을 모두 처리할 수 있는 공용 장비 개발을 추진 중이다. 현재는 회사별로 AP를 설치하고 장소와 구내선로만 공유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공용AP가 개발되면 와이파이존 구축·운영 비용 절감과 공사기간 단축이 가능하다.
방통위 관계자는 “효율적이 자원 이용이라는 공동 구축 취지를 살리기 위해 통신사업자와 긴밀히 협의해 공동 와이파이존을 늘려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