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201/230636_20120106132919_537_0001.jpg)
“세계 최고수준 전자정부를 보유한 이점을 활용해 세계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맞춤형 수출전략을 추진하겠습니다.”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해 말 전자정부 수출 2억달러 달성 기념자리에서 밝힌 말이다.
정부가 올해 전자정부를 주력 수출상품으로 키운다. 2008년 982만달러에 불과했던 전자정부 수출규모가 매년 꾸준히 상승, 지난해 2억3600만달러에 달했다. 새해 목표치는 3억달러다.
수출 확대 예상 배경으로 기술적 우월성과 전 세계적 인지도 확산을 꼽는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0년 UN 전자정부 평가에서 당당히 세계 1위를 기록했다. 또 지난해 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국제전기통신연합(ITU)과 공동 발간한 ‘모바일 전자정부(m거버먼트) 보고서’에 한국 사례가 대거 등재돼 사실상 세계에서 가장 앞섰다는 평가다. 올해 초 기획재정부가 OECD 34개국과 비교한 ‘국가경쟁력 보고서’에서도 우리나라 전자정부지수는 OECD 30개국 중 1위를 기록했다. 2010년 조사에서는 6위에 그쳤다.
자신감을 바탕으로 정부는 민간에서 해외 전자정부 프로젝트를 수주할 수 있게 글로벌 시장 공략을 적극 지원한다. 대표적 행보가 오는 9월 서울에서 여는 ‘전자정부 글로벌 포럼’이다. 과거 해외에서도 유례가 없는 행사로 세계 각국 전자정부 담당 고위공무원과 민간기업을 초청해 개최한다. 주제는 ‘전자정부 글로벌 확산’으로 정부는 우리 제품이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UN·OECD 등 국제기구와 공동 전자정부 프로젝트도 다수 추진한다. 올해 예정된 것만도 아시아개발은행(ADB)과 타지키스탄 사회보장정보시스템 구축, 미주개발은행(IDB) 협력 니카라과 u시티 구축 자문,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모잠비크 전자정부 마스터플랜 수립(4~9월) 등이 있다. 또 UN무역개발회의(UNCTAD)와 전자정부 관련 법률 프레임워크 구축 컨설팅이 예정돼 있다. 정부는 이 같은 노력 결과물이 각국에 퍼져나가 민간에서 전자정부 상품·서비스를 수출하는데 크게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기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