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서비스, 성장은 계속돼야 한다.”
전자신문이 지난 8월부터 3개월간 매주 연재한 ‘IT서비스, 다시 시작이다’ 시리즈를 일람한 전문가들은 “IT서비스 발전은 지속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IT서비스가 시스템통합(SI)과 시스템유지보수(SM)로 시작해 IT를 접목한 u헬스와 u시티, 그린IT 등 새로운 서비스와 시장을 창출하고 자동차와 조선, 건설, 섬유 등 기존 산업과 접목을 통해 산업과 산업을 융합시키는 컨버전스 리더로 급부상하고 있는 데 공감했다.
하지만 ‘IT서비스, 다시 시작이다’ 시리즈에서 지적했듯이 해결해야 할 난제도 적지 않다. 3개월간의 연재를 마치며 전문가들이 말하는 IT서비스 발전을 위한 대안을 마지막으로 정리했다.
시리즈가 진행되던 지난 10월 말 정부가 55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 IT서비스기업의 공공부문 참여를 전면 제한한다는 정책을 발표했다. ‘IT서비스 대기업이 계열사의 일감 몰아주기에 의존하고, 저가로 공공 시장에 참여함으로써 소프트웨어(SW) 생태계를 왜곡하고 있다’는 판단 아래 대기업 중심 시장 질서를 전문·중소기업 중심으로 전환하고 건전한 SW 생태계를 구현하겠다는 취지다.
전·현직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해 IT서비스기업 종사자, 학계 전문가들은 정책에 대한 의견 개진에 앞서 기본과 원칙을 재차 주문했다. 기본과 원칙에 충실하지 않는 한 정책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우선, IT서비스에 제대로 된 이해를 주문하는 목소리가 잇따랐다. 전·현직 CEO들은 “IT서비스 속성상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 상호 경쟁력을 제고해야 하는 시점에 대기업의 프로젝트 참여 기회를 제한하는 것은 대·중소기업 간 협력을 차단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감을 표시했다. 중소기업과 컨소시엄 의무화와 중소기업 할당 방안 등을 대안으로 내놓았다.
과업변경 대가 인정 등 사업대가 합리화와 입찰제안서 보상, 원격지 개발 등 현안 해결도 주문했다. 이 같은 현안이 해결돼야 대·중소기업 간 갈등을 해소하고, 궁극적으로 건전한 SW 생태계 구현을 앞당길 수 있다는 설명이다.
IT서비스 프로젝트 특성상 사업을 진행하는 동안 업무 범위가 수시로 변경될 수 있지만, 정부 프로젝트는 이 같은 탄력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IT서비스기업 관계자는 “과업 변경으로 평균 30% 이상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고 소개했다. 과업 변경에 따른 적절한 보상이 이뤄지지 않아 흑자로 수주해 적자로 마무리하는 사례도 비일비재하다는 것이다.
정부가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발생하는 과업변경에 따른 대가를 인정하면 IT서비스기업의 수익구조가 개선돼, 협력관계인 SW 중소기업 수익구조 합리화에도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입찰제안서 보상도 마찬가지다. IT서비스기업의 입찰제안서 작성 비용은 프로젝트 규모 대비 3∼5%라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 개별 기업이 감당해야 할 적지 않은 금액이지만 수주하는 1개 기업을 제외하고는 모두 비용이다.
전직 CEO는 “IT서비스기업이 수십년간 요구한 사업제안서 보상 요구는 함흥차사”라며 “정부를 비롯한 발주기관이 세금을 낭비하는 건 안 되고 기업이 투입하는 비용은 낭비해도 된다는 이중적 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원격지 개발도 입찰제안서 보상과 대동소이하다. 발주기관의 요구를 수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에서 비용부담은 전적으로 수주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몫이다.
정부의 IT서비스에 대한 근본적 인식 전환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글로벌 시장에서 국가 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해 온 IT서비스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적은 것 같아 아쉽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분야가 IT서비스라는 점을 다시 한 번 되새기고 IT산업 부양을 위해서라도 IT서비스에 관심을 가져 달라는 주문이 쏟아졌다. 이와 함께 극심한 청년 실업과 제조업 공동화 등 어려운 경제여건 아래 IT서비스가 기여하고 있는 바를 인정해야 한다. 또 IT서비스에 비전을 제시하고 인도할 수 있는 정부의 노력이 필요한데 현재 어느 부처가 그 역할을 하고 있는지는 다소 의문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았다.
IT서비스를 미래지향적 산업으로, 신성장동력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정부가 관심을 환기하고 육성하고 지원해야 한다는 게 이들의 한결같은 주문이다.
IT서비스 주요 개선 과제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IT서비스 주요 개선 과제
-
김원배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