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맥경화 억제하는 면역세포 발견

국내 연구진, 故 랄프 스타이먼 교수와 공동연구

국내 연구진이 올해 노벨상 수상자인 고(故) 랄프 스타이먼 교수와 함께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면역세포를 찾아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화여대 오구택 교수, 한양대 최재훈 교수, 미국 록펠러대 고 랄프 스타이먼 교수, 정철호 박사가 주도한 연구팀이 동물(쥐) 실험을 통해 `Flt3 의존성 수지상세포`가 동맥경화의 진행을 늦추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수지상(나뭇가지 모양)세포는 인체에 바이러스나 병원균이 침입했을 때, 종양과 같은 비정상 세포가 생겼을 때 이를 잡아먹고 분해한 뒤 임파절의 T-세포에 침입균 항원이나 암항원의 정보를 전달하는 중요한 면역세포다.

고 랄프 스타이먼 교수는 1973년 생쥐의 면역장기에서 이 세포를 발견해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 가운데 `Flt3 의존성 수지상세포`는 Flt3 단백질을 받아들여 결합할 수 있는 수용기를 가진 수지상세포 종류를 말한다.

연구진은 유전자 조작을 통해 Flt3 유전자(단백질)가 결핍된 쥐의 혈관에 Flt3 의존성 수지상세포 역시 부족하다는 사실, 이 쥐에서는 동맥경화증이 더 빨리 진행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혈관 속에 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이 많이 쌓이면 염증을 일으키기 때문에 동맥경화는 일종의 만성 염증 질환이다. 염증을 제거하기 위해 면역세포들이 활동하지만, 제 역할을 다 한 면역세포들이 정상 수준으로 제어되지 못하면 정상세포까지 해를 입고, 동맥경화가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면역반응을 적절히 조절하는 림프구가 존재하는데, Flt3 의존성 수지상세포가 이 면역조절 림프구를 늘려 결과적으로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오구택 교수는 "동맥경화에서 Flt3 의존성 수지상세포의 역할을 처음 밝힌 연구 결과"라며 "추가 연구를 통해 Flt3 의존성 수지상세포를 활용한 동맥경화 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논문은 세계적 권위의 생명과학분야 학술지 `셀(Cell)`이 발간하는 자매지 `이뮤니티(Immunity)` 10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연합뉴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