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가 홈스마트 서비스의 주요 축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최준균 KAIST 교수는 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TV용 애플리케이션 생태계 활성화 심포지엄’에서 “앞으로 TV나 전화기라는 용어가 사라질지도 모른다”며 “새로운 융합 미디어 생태계 등장으로 TV는 통합검색 기능, 사용자 맞춤 서비스, 방송정보 바로보기 등 방송과 인터넷을 통합하는 스마트 허브로서 기능을 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심포지엄에서는 스마트TV용 애플리케이션 생태계 구성에 대한 TV제조업체, 학계, 방송 업계 관계자들의 전략 및 시장 전망이 이어졌다.
LG전자는 서비스 플랫폼, 개발자 지원, 차별화 된 콘텐츠를 스마트TV 전략으로 제시했다. 서영재 LG전자 스마트TV 팀장은 “콘텐츠 공급 서비스 플랫폼을 강화하고 소프트웨어개발킷(SDK) 제작을 지원하는 등 생태계 구축에 힘쓰고 있다”고 자사 전략을 소개했다.
통신사의 스마트TV를 중심으로 한 ‘이어보기’ 서비스와 N스크린 전략도 발표됐다. 진영민 KT 콘텐츠·미디어사업 본부 상무는 “IPTV, 스마트패드 등 스크린별 특성과 상황에 따른 융합형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TV용 통합 앱의 필요성도 강조됐다. 고진웅 C&M 전무는 “산업계가 함께 상생할 수 있도록 LG나 삼성전자 등 TV제조사가 자체 개발 운영 중인 앱을 통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